우울증이 특정 문제들을 풀기 위한 뇌의 자연적인 적응현상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과학 전문지 사이언스 데일리는 캐나다 맥매스터 대학 중독·정신건강센터(Center for Addiction and Mental Health)의 폴 앤드루스 박사가 우울증은 이해가 어려운 복잡하고 중요한 문제들에 대처하기 위해 필요하며 도움이 되는 뇌의 자연적인 적응현상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새로운 증거를 제시했다고 19일 보도했다.
앤드루스 박사는 “약 600명의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20개 문항의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그 답변들이 우울증의 특징인 분석적 반추(analytical rumination)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들은 강도에는 차이가 있지만 모두 분석적 반추를 경험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분석적 반추 상태는 자신도 모르게 어떤 복잡한 문제를 분석하는 데 정신이 쏠려 있어 일상생활에는 마음을 돌릴 여유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때문에 식사, 수면, 사회활동 등 일상생활에서 장애가 발생하며 이것이 우울증세로 표출된다는 것이다.
그는 “우울증은 그 기저에 깔려있는 병리를 둘러싸고 아직 의학계의 일치된 견해가 없는 만큼 우울증의 기저 메커니즘을 이해할 때 효과적인 치료법도 나올 수 있다”면서 “분석적 반추의 강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측정하는 것이 우울증세를 줄여나갈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찾아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온라인 과학전문지 ‘공중과학도서관’(PLoS One) 최신호에 발표됐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
미국 과학 전문지 “우울증은 뇌의 자연적인 적응 현상”
입력 2014-11-20 1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