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조정 대상 中企 125곳…5년 만에 최대

입력 2014-11-19 14:49

경기 회복 지연으로 경영 실적이 나빠진 중소기업 125곳이 구조조정된다. 이는 금융위기를 겪던 때인 2009년(512개사) 이후 5년 만에 최대규모다.

금융감독원은 재무구조가 취약한 중소기업 1609곳에 대해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한 결과 지난해보다 11.6%(13개사) 많은 125개사를 구조조정 대상기업으로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들 회사는 최근 3년간 영업현금흐름이 적자고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이며 자산건전성이 요주의 이하 등급을 받은 기업 중에서도 세부평가 결과 한계기업으로 분류된 업체다.

C등급(워크아웃)은 54개사로 지난해와 같지만 D등급(법정관리)은 71개사로 전년 대비 13곳 늘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의 부진이 두드러졌다. 제조업종은 76곳으로 지난해(53개)보다 43.4% 증가한 반면 비제조업은 49곳으로 전년(59개) 대비 16.9% 감소했다.

구조조정 대상 중소기업이 늘어난 것에 대해 금감원 관계자는 “경기 회복 지연 등에 따라 기업 경영 실적이 악화된 데다 채권은행들의 적극적인 구조조정 의지가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지난 9월 말 기준으로 이들 구조조정 대상 기업에 나간 금융권의 신용공여액은 1조4069억원이다. 125개사의 구조조정 추진에 따른 자산건전성 재분류로 은행권은 4854억원의 충당금을 쌓아야 한다. 9월 말까지 2328억원이 적립됐고 2526억원의 추가 적립이 필요하다. 충당금 증가로 은행권의 BIS비율이 14.18%에서 14.16%로 0.02% 포인트 떨어지게 되지만 은행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금감원은 전망했다.

금감원은 C등급 기업에 대해선 자산부채 실사 및 경영정상화계획 수립 등 워크아웃을 조속히 추진하도록 지도하고, D등급 기업은 채권은행의 지원 없이 자체 정상화를 추진하거나 법원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신청을 유도할 방침이다.

천지우 기자 mog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