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김정은 회부될라” 유엔 인권결의안 저지 막판 안간힘

입력 2014-11-18 17:15
북한이 18일(현지시간) 유엔총회 제3위원회의 북한 인권결의안 표결을 앞두고 이를 저지하기 위해 막판까지 안간힘을 쏟고 있다. 사진은 지난 2월 국회에서 열린 북한의 종교박해 실태 그림 전시회 모습. 강민석 선임기자

북한이 '북한 인권결의안' 저지를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다. 북한은 그동안 국제사회의 북한 인권에 대한 문제 제기에 대해 무시로 일관해왔다. 하지만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국제형사재판소(ICC)에 회부될 수도 있다는 압박감에 결의안 저지에 적극 나선 것으로 보인다.

18일(현지시간) 유엔총회 제3위원회의 북한 인권결의안 표결을 앞두고 북한이 결의안 통과를 막기 위한 막판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NYT는 유엔소식통과 인권단체를 인용해 북한 측이 표결 전날까지 전례 없이 긴박한 움직임을 보였다고 전했다.

앞서 북한은 유엔이 북한 인권결의안을 채택할 때마다 이를 ‘미국의 술책’으로 치부하며 대응하지 않았다.

하지만 올해 처음으로 북한 인권침해 책임자를 국제형사재판소(ICC)에 회부하라고 안전보장이사회에 권고하는 내용이 담기며 북한의 동향이 급변했다.

실제로 북한은 지난달 결의안 공개 이후 억류 미국인 3명 전원을 석방하는 등 국제사회에 유화적인 제스처를 취했다. 결의안에서 ICC 부분이 제외되면 유엔 인권특별보고관의 방북을 허용하겠다는 입장도 처음으로 밝혔다.

북한은 이런 대응을 보이면서도 한편으로는 북한 수용소에서 탈출한 신동혁(33)씨를 ‘거짓말쟁이’라고 비난하는 영상을 유포시켰다. 신씨는 살육, 고문, 기아 등 수용소 인권상황을 고발해왔으며 이는 이번 결의안의 근거인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의 보고서에도 반영됐다.

북한이 이번 인권결의안을 막기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지만 결의안은 압도적 표차로 통과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결의안은 구속력은 없지만 북한은 물론 중국과 러시아 등 북한에 우호적인 안보리 회원국에게 큰 압박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NYT는 전했다.

18일 결의안에 앞서 북한의 우방 쿠바가 ICC 회부 부분을 제외한 수정안이 먼저 표결에 부쳐지지만 통과 가능성은 희박하다.

서정학 기자 mideu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