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에 부담을 주는 좋지 않은 자세로 오랫동안 생활하거나 오래 앉아 있거나 장시간 서 있는 등 고정된 자세로 오랜 시간 유지하게 되면 허리 근육에는 스트레스가 쌓이고 디스크에서는 수분이 빠져나가면서 탄력을 잃게 된다. 요즘은 50대 이상 어르신뿐만 아니라 10대 학생이나 20, 30대 젊은 직장인 중에서도 허리에 무리를 주는 잘못된 자세로 인해 통증을 겪는 경우가 많다.
척척디즈크한의원 박명원(사진) 원장은 “처음에는 말랑말랑하던 수핵이 점차적으로 탄력성을 잃고 섬유질도 퇴행되면서 허리 근육 및 인대와 디스크가 약해진 상태에서 준비 운동 없이 갑자기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운전을 오래 하거나, 사고로 인한 외상을 입게 되면 정상 상태일 때와 같이 디스크가 하중을 버티지 못하고 결국에는 수핵이 섬유질을 뚫고 밀려나오게 된다”고 설명했다.
척추관협착증은 주로 50대 이상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퇴행성 척추 질환 중 하나로 노화로 인해 척추 뼈와 황색인대 및 근육이 퇴행하면서 척추 속 신경이 지나다니는 척추관과 추간공 주변의 요추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허리디스크와 마찬가지로 요추 신경이 압박되어 허리 통증이 나타나기 때문에 허리디스크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다.
박명원 원장은 “허리디스크는 척추 뼈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추간판이 돌출하며 생기는 추간판 탈출증이지만, 척추관협착증은 척추 뼈에 노화가 찾아오면서 허리통증이 발생하기 때문에 허리디스크와는 발병 원인, 병의 진행과정뿐만 아니라 치료하는 방법도 달라질 수 있다”고 전했다.
일명 디스크라고도 불리는 추간판은 안쪽에 있는 부드러운 수핵과 바깥쪽을 단단히 싸고 있는 섬유륜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핵과 섬유륜에 퇴행성 변화가 시작되면서 추간판 중에서 척추에 부착된 부위가 떨어지거나 가시 같은 모양으로 뼈가 튀어나오면서 척추관이 좁아지거나, 또는 척추 뒤쪽에 있는 인대가 두꺼워져서 척추신경을 압박하면 허리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한약 중에는 디스크로 인해 손상된 신경의 염증과 붓기를 가라앉게 하여 통증을 해소하고,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해 손상된 조직 회복을 도우며, 늘어나고 얇아진 인대를 강화하고 척추와 디스크를 잡고 있는 근육의 힘을 길러주어 약해진 척추 주위의 근육, 인대를 튼튼하게 하는데 도움되는 약재가 많이 있다.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해 적절한 약재를 체계적으로 사용하면 허리디스크, 척추관협착증의 경우에도 수술 없이 호전되는 경우가 많다.
이영수 기자
허리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의 원인 및 비수술 치료법은?
입력 2014-11-18 1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