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의료기관에서 지속적으로 진료를 받는 것이 심혈관계 질환에 의한 합병증 및 사망위험를 줄여 의료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서울대학교병원은 가정의학과 조비룡, 신동욱 교수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자료를 이용하여 2003~ 2004년, 2년간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대사증후군 진단을 받은 4만7433명을 최근 5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조 교수팀은 특히 이번에 같은 의료기관을 방문한 정도(진료의 지속성 지표, continuity of care index))가 높은 군과 낮은 군으로 나눈 후, 심혈관계 발생 및 사망률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대사증후군 진단 후 5년간 여러 의료기관을 전전한 환자들은 의료비로 약 205만원을 쓴 반면, 한 의료기관만 계속 다닌 환자들은 약 145만원만 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입원비용에서 차이가 많이 났다.
신 교수는 “의사가 같은 환자를 지속적으로 보면 문제를 더 빨리 찾고, 예방상담 등의 진료를 더 잘 제공하며, 환자들이 자기 관리를 더 잘하고, 약물치료 권고를 더 잘 지키는 경향이 있다”고 고 말했다.
연구 책임자인 조비룡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한 의사에게서 지속적으로 진료를 받을수록 입원비용이 감소함으로써 전체 의료비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며 “의사와 환자가 지속적인 관계를 통하여 신뢰관계와 만족도를 높이는 일차의료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국가의 만성질환 관리와 의료비용 절감에 도움이 될 것” 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일차의료에 관한 세계 최고의 권위지인 미국 가정의학회지 ‘애널스 오브 패밀리 메디신’(AFM)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대사증후군 위험 줄이고 치료비 아끼려면 닥터쇼핑 말아야”
입력 2014-11-17 1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