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은 13일 “한국석유공사가 2조원 상당을 투자한 캐나다 하베스트사의 정유부문 사업체(NARL)를 미국 상업은행에 매각하면서 고작 200억원 가량에 팔아넘긴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총 투자금의 ‘100분 1’만 건졌다는 것이다. 새정치연합 ‘MB정부 해외자원개발 국부유출 진상조사위원회’ 노영민 위원장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같이 밝혔다. 특히 이 과정에서 NARL의 부지와 시설물의 자산가치는 한 푼도 인정받지 못했으며, 오히려 700억원이 넘는 NRAL의 부채를 석유공사가 떠안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노 위원장에 따르면 석유공사가 NARL을 미국계 상업은행인 ‘실버레인지’에 팔면서 받기로 한 매각 대금은 200억원 내외였다.
석유공사는 지난 2009년 하베스트사 지분을 100% 인수할 당시 하베스트 이사회 요구에 따라 수익을 내지 못하던 NARL을 함께 인수했다. NARL 인수에 들어간 비용은 매입금액과 경영권 프리미엄을 더해 1조1000억원 가량이다.
그러나 지난 5년간 인수금액 1조1000억원이 고스란히 자산손실됐으며, 인수 후 추가 시설 투자에 들어간 4763억원과 운영비 손실 5830억원 등 총 1조59억원의 추가 손실이 발생했다. 매입대금과 손실을 합하면 2조원을 상회하는 것이다.
석유공사는 재무적 부담만 주는 NARL을 털어내기 위해 지난 8월부터 미국 상업은행과 비밀유지 계약을 진행해 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뿐만 아니라 ‘실버레인지’에서 NARL의 모든 채권·채무 관계를 정리한 후 인수하겠다고 주장해 석유공사가 결국 NARL의 부채 7260억원(6억6000만달러)을 떠안게 됐다고 노 의원은 밝혔다.
노 위원장은 “인수한 지 몇 년 되지도 않았는데 부채만 떠안고 가치를 제로로 매각했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결국 2조원이 허공으로 날아갔다”고 비판했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
한국석유공사, 투자액 대비 100분의 1만 남기고 날(NARL) 매각
입력 2014-11-13 1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