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쿡기자의 건강톡톡] 왜 똑같은 양을 먹어도 ‘살’이 더 찔까?

입력 2014-11-13 12:11

수많은 여성들이 얄미워 하는 유형의 사람이 있습니다. 바로 ‘같은 양을 먹어도 살이 덜 찌는 사람’일 것입니다.

최근 한 비만전문병원에서 지난 10월 13일부터 27일까지 20~30대 여성 142명을 대상으로 ‘다이어트 중 삐뚤어지고 싶을 때’를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 전체 참여자 중 71명(50%)이 다이어트 중 “마음껏 먹고도 날씬한 친구를 볼 때” 가장 좌절감을 느낀다고 응답했습니다.

그렇다면 실제로 수많은 여성들이 좌절하는 것처럼 ‘먹어도 살 안 찌는 사람’은 따로 있는 것일까요. 알아봅시다.

같은 양을 먹어도 살이 덜 찌고 더 찌고는 타고난 체질이 아닌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식습관과 운동습관의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마음껏 먹어도 날씬한’ 체질로 스스로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하루 세끼 규칙적으로 정해진 시간에 칼로리는 낮되 포만감은 높은 식사를 하고 평소 운동으로 몸의 근육량을 높이거나, 활동량을 높여 섭취한 칼로리를 적극적으로 소모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날씬한 사람들에게는 공통된 식습관이 있습니다. 펜실베니아 주립대 연구진들이 날씬한 사람들의 식습관을 조사한 결과, 그들은 식사 전 샐러드나 수프를 먼저 먹어 배를 채우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비타민이 풍부하고 칼로리가 낮은 야채를 먼저 먹고 단백질, 탄수화물 순으로 먹는 것이 좋은데 수분이 많은 음식이 포만감을 주고 칼로리가 낮기 때문에 많이 먹는 것처럼 보여도 실제 섭취하는 칼로리는 낮을 수 있는 것이죠. 또 달걀을 재료로 한 음식을 먼저 먹게 되면 포만감이 좋아 다른 음식의 섭취량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고 하니 참조하세요.

다이어트를 할 때 탄수화물의 섭취를 극히 자제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탄수화물은 열과 힘을 내 단백질의 절약작용을 돕기 때문에 적절한 탄수화물의 섭취는 다이어트의 필수요소입니다. 또 몸 속에서 제대로 에너지를 대사하고 소비하려면 비타민, 미네랄 등이 필수입니다. 적게 먹고 운동을 꾸준히 하는데도 불구하고 체중감량이 더딘 경우에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부족한 상태이거나, 식이 조절을 너무 엄격히 한 나머지 꼭 필요한 비타민과 미네랄 등의 섭취의 결핍으로 인해 에너지 대사 과정이 원활하지 못한 것은 아닌지 점검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기초대사량이 높은 사람은 같은 음식을 먹어도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기 때문에 운동을 적게 하더라도 상대적으로 체중조절에 유리한 편입니다. 사람이 활동하는데 사용되는 에너지량은 기초대사량과 운동대사량으로 분류됩니다. 몸이 움직이는데 필요한 걷고 뛰는 등 활동을 통해서 소비되는 에너지가 운동대사량이고 두뇌, 심장, 뇌 등 생명 활동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양을 기초대사량이라고 합니다. 기초대사량은 가만히 있어도 생명 활동을 위해 소비되는 최소한의 에너지로서 유전이나 체질 특성, 근육량 등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무엇보다도 비만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지방 섭취량뿐만 아니라 ‘섭취한 지방을 태울 수 있는 능력’인 지방연소용량도 중요합니다. 기초대사량을 늘리는 것이 다이어트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지만 과다하게 지방을 섭취하는 사람의 경우 지방연소용량도 그에 못지 않게 중요합니다. 특히 체지방이 과다한 비만인의 경우 체지방량을 낮추고 ‘지방연소용량’을 늘리려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장윤형 기자 vitamin@kuki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