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방문 중인 마르주키 다루스만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이 12일 서울시 관계자와 만나 유엔 북한인권사무소 서울 설치를 위한 세부사항을 최종 조율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다루스만 보고관과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 직원들은 서울 종로구 글로벌센터빌딩에 입주하게 될 북한인권사무소의 임대비용과 보안문제 등에 대한 관련 실무협의를 마쳤다. 조만간 계약이 성사돼 내달부터 사무소가 가동될 전망이다.
다루스만 보고관의 방한이 ‘샤이오 인권포럼’ 참가 등을 위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실제 목적은 북한인권사무소 설치 때문이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유엔이 북한인권사무소를 그만큼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는 의미다. 이 사무소는 이달 말 북한 인권결의안이 유엔총회에서 채택되면 유엔이 취할 첫 후속조치다.
다루스만 보고관은 북한인권사무소의 서울 유치를 꾸준히 강조해왔다. 북한을 감시할 국제기구를 한국에 둬야한다는 상징성과 함께 북한 인권실태에 대한 방대한 정보를 비교적 쉽게 얻을 수 있어서다.
반대로 북한은 인권사무소 설치에 대해 “체제 전복 도발”이라며 민감하게 반응해왔다. 미국인 억류자 석방도 북한인권 문제를 국제형사재판소(ICC)에 회부하려는 유엔 차원의 압박을 피하려는 포석으로 해석될 정도였다. 북한은 ICC 회부 조항을 빼주는 조건으로 다루스만 보고관에게 방북을 제안했지만, 그는 일언지하에 거절했다.
다루스만 보고관이 북한인권사무소 문제를 직접 점검한 것 자체가 북한인권결의안 채택 의지를 분명히 한 것이란 평가도 제기된다. 정부당국자는 “다루스만 보고관은 ICC 회부를 추진한 당사자”라며 “14일 오전 방한 결과를 발표하는 기자회견에서 인권사무소에 대해서도 언급할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북한 인권사무소는 전용면적이 131㎡(40여평)로 보증금을 뺀 연간 임대비용 및 관리비가 연간 7000만원선인 것으로 알려졌다. OHCHR은 유엔 홈페이지에 북한인권사무소에서 일할 지원자를 모집 중이다. 향후 사무소는 탈북자 면담을 비롯해 북한인권 실태를 심도 있게 다룰 계획이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
[단독]다루스만 진짜 방한목적은 북한인권사무소 연내 가동
입력 2014-11-12 1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