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북한의 요청에 따라 개성공단에 에볼라 바이러스 검역 장비를 지원키로 결정했다.
통일부 관계자는 11일 “북측 통행검사소가 지난달 29일 우리 측 개성공단 관리위원회에 에볼라 바이러스 검역장비 지원을 요청했다”며 “입주기업 주재원의 출·입경 불편 해소와 인도적 지원 차원에서 북측 통행검사소 입경동에 열 감지 카메라를 이르면 이번 주 안에 설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에볼라 지원은 통일부와 보건복지부의 공조를 통해 대당 1500만원인 검역 장비 3대를 북한에 무상 임대하는 방식이다. 열 감지 카메라의 일부 부품이 미국제품이어서 대북 수출이 제한되는 ‘전략물자’에 해당하는 점을 고려해 일정 기간 임대한 후 회수하는 방식을 택했다.
정부는 신종 플루가 창궐했던 2009년에도 북측의 요구에 따라 출입사무소에 검역 장비를 대여한 적이 있다. 현재 하루에 우리 측 인력 300∼400명이 개성공단을 방문하고 있고 외국인도 포함돼 있다.
북한이 에볼라 방역을 위해 신규 방문 외국인을 21일간 호텔에 격리 조치하는 등 바이러스 유입 차단에 총력을 기울이는 가운데 평양 주재 외교관 사이에서 북한 당국의 조치가 과하다는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미국의소리(VOA) 방송은 호베르투 콜린 북한 주재 브라질대사의 발언을 인용해 “북한의 조치로 외국 공관과 국제기구, 비정부기구 등의 업무 활동이 큰 영향을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콜린 대사는 “북한이 에볼라에 대해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제약을 가하고 있다”며 “이런 조치가 외교관계에 관한 ‘빈 협약’ 정신을 위반하는 것이 아닌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외교관의 이동 및 여행의 자유, 편의 제공, 이익 보호 등을 명시하고 있는 빈 협약은 1961년 채택됐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
북한 주재 외교관들의 에볼라 대책 불만 폭발
입력 2014-11-11 1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