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1일 세월호 사고 실종자 수색 종료 및 범대본 해체 결정을 발표했다.
정홍원 국무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청사에서 해양수산부, 안전행정부, 국방부 등 10개 부처 장관이 참석한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세월호 사고 실종자 수중수색 종료와 관련된 현안을 논의했다.
우선, 최근 선체 내 격실붕괴 위험이 커지고, 기상악화 등에 따라 수중수색이 물리적 한계에 도달하면서 실종자 가족들이 수색 종료를 정부에 요청함에 따라 이날자로 수색을 종료키로 했다. 아울러 유실방지를 위한 선체 봉인 등의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또 지난 4월 정 총리 지시로 설치된 범정부대책본부는 현장 정리를 위해 당분간 축소 운영하다가 해체하고 이후에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가 관련 업무를 수행키로 결정했다. 인양 등 선체 처리는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위한 공론화 과정을 거쳐 적절한 시점에 중대본에서 결정할 것이라고 정부 관계자는 밝혔다. 이주영 해수부 장관은 이날 세월호 실종사 수중수색 종료 관련 대국민 발표문을 배포했다. 이 장관은 발표문에서 “세월호 침몰사고 범정부 사고대책본부장으로서 지난 200여일 동안 지속해 왔던 실종자를 찾기 위한 수중수색 작업의 종료를 발표하고자 한다”며 “마지막 한 분까지 찾아 드리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못한 채 현 수색작업을 종료하게 되어 안타깝고 송구스러운 마음을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7개월 가까운 기간 인적, 물적 자원을 동원하여 수색에 최선을 다했지만 수색여건이 너무 위험한 상황에 이르렀다”며 “지금과 같은 수색작업을 계속하다간 또 다른 희생을 부를지도 모른다는 것이 현장 관계자와 전문가들의 의견”이라고 했다. 이어 “이제는 실종자를 발견할 가능성이 희박해졌을 뿐만 아니라 안전에 관한 현장의 거듭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잠수에 의한 수색이 한계에 이르렀다는 것이 정부의 판단”이라고도 덧붙였다.
이 장관은 “인양 등 선체처리에 관하여는 해역 여건, 선체상태 등에 대한 기술적 검토와 실종자 가족, 전문가 등의 의견 수렴 및 공론화 과정을 거쳐 적절한 시점에 중대본에서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
세월호 범대본 해체
입력 2014-11-11 1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