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세월호 실종자들을 찾기 위한 수색을 중단하기로 했다.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지 209일 만이다.
지난 4월 16일 세월호 참사 후 304명의 실종자 중 지금까지 9명의 실종자를 찾지 못한 상태다.
정부는 11일 서울 세종로 정부청사에서 정홍원 국무총리 주재로 관계장관 회의를 열어 세월호 수색작업과 관련한 정부의 공식 입장을 이같이 정리했다.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은 회의 후 기자회견을 열고 “지금과 같은 수색작업을 무리하게 하다가는 또 다른 희생이 나올 수 있고 수색이 장기간 반복되면서 실종자들을 발견할 가능성이 희박해지고 있다”며 “실종자 전 가족의 수색중단 요청에 따라 수색을 종료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또 “그동안 병행해왔던 유실방지를 위한 수색활동도 선체봉인조치를 취한 후 마무리하겠다”며 “사고 수습을 위해 설치된 범정부 사고대책본부는 현장을 정리하기 위해 당분간 축소 운영하다 해체하겠다”고 말했다.
앞으로 인양 등 선체처리는 해양 여건, 선체 여건에 대한 기술적 검토와 실종자 가족, 전문가 등의 의견수렴 및 공론화 과정을 거쳐 적절한 시점에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결정할 예정이라고 이 장관은 덧붙였다.
앞서 전날 실종자 가족들은 처음으로 잠수 방식의 선체 수색을 중단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실종자 가족들은 지난달 중순부터 세월호 선체의 붕괴가 지속되고 수온이 급격히 내려가는 등 수색 조건이 갈수록 나빠지자 인양 등 실종자를 찾을 새로운 방법을 두고 고민을 거듭해왔다.
실종자 가족들은 지난달 29일 안산 단원고 황지현양의 주검이 수습되면서 반짝 기대를 걸었지만 결국 추가 수색이 어렵다는 잠수사들의 의견을 받아들이기로 했다.
이명희 기자 mheel@kmib.co.kr
[긴급] 세월호 실종자 수색 중단 발표
입력 2014-11-11 09:56 수정 2014-11-11 1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