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에 뾰루지가 나오면 여드름을 의심하고, 머리가 빠지면 탈모를 의심하게 된다. 그러나 피부가 건조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 피부타입, 혹은 날씨의 문제라 생각하지, 질환이라 생각하는 이들은 거의 없다. 허나 건조한 피부, 그리고 붉은 발진들이 나타난다면 피부질환을 의심해보는 것이 좋겠다. 건선일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일시적인 증상이란 생각에 방치했더니
피부의 심한 건조함, 붉은 반점이 나타나거나 손이나 발이 잘 붓고 소화가 잘 안되는 증상들은 건선의 초기 증상이다. 초기에 제대로 치료를 받는다면 치료 기간을 단축시키는데 상당히 용이하지만, 대부분 피부질환이라고 생각하지 않거나, 일시적인 현상으로 생각하고 방치하는 경우도 많다.
더욱이 손이나 발이 잘 붓거나 소화가 잘 되지 않는 증상은 피부에 직접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이 아니기 때문에 방치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고운결한의원 이종우 원장은 “붉은 반점들이 점점 커지거면서 합쳐지거나, 환부에염증과 더불어 각질이 두텁게 쌓이는 단계로 이어져서야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많다”며 “치료가 불가능한 질환이 아닌만큼, 치료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선 되도록 빨리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건선, 치료 위해서는 근본원인 먼저 해결
한방에서는 건선의 원인이 면역력 교란에 있다고 보고있다. 면역체계가 교란되면서 피부 방어에 문제가 생기면서, 각질세포가 비이상적으로 빠르게 증식하게 되고, 이로 인해 건선이 발병한다는 것이다. 내부적인 문제를 바로잡지 못한다면, 시간이 지날수록 그 증상이 심해지게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종우 원장은 “건선의 치료를 위해서는 우선 면역체계를 정상화 시키는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며 “단, 이때에는 같은 건선이라도, 개개인의 특성이 다른만큼, 환자의 체질과 병리적인 상태에 맞는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환자마다 체질적 특성, 병리적 단계가 다른만큼, 이를 모두 고려하여 1대1 맞춤 치료가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고운결한의원에서는 보다 면밀한 체질 및 질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쿼드-더블 진단’을 진행하고 있다.
건선은 팔꿈치, 무릎, 엉덩이, 두피, 손바닥, 발바닥, 등과 같은 다양한 부위에 질환이 나타난다. 때문에 초기에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질환을 키우는 경우도 많다. 이종우 원장은 “증상이 심화되면 몸뿐 아니라, 대인관계에 있어 정신적으로도 고통을 받게 되는 질환인만큼, 정확한 진단과 조기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한 질환임을 기억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송병기 기자
“설마 내가?”가 현실이 되는 질환 ‘건선’
입력 2014-11-10 1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