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5만원권 찾으러 나섰다. 5만원권을 둘러싼 지하경제 연루 논란이 지속되자 한국은행이 칼을 뽑았다. 통화환수율(일정 기간의 발행 물량 대비 회수 물량 비율)을 높이려고 금융사별 신권 배분한도 기준에 5만원권의 입고(입금) 실적을 반영하기로 한 것이다.
한국은행은 신권 배분 규정인 ‘제조화폐 지급운용 기준’을 개정, 내년 1월부터 시행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까지는 금융사별 고액권(1만원권과 5만원권) 신권 배분한도의 기준에 금융기관 점포수와 함께 손상권 입고(입금), 주화 입고, 위조지폐 적출률 등 화폐 유통 정책에 협조한 실적을 반영했다. 개정안은 여기에 5만원권 환수액을 처음 포함하기로 했다. 특히 한도 책정 때 총 100점 중 25점 이상의 배점을 5만원권 입고 실적에 부여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그동안 한도 배정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해온 손상권 입고 실적의 배점은 종전 50점 이상에서 5만원권 입고실적과 같은 수준인 25점 이상으로 하향 조정됐다. 은행 등 금융사에 불필요한 5만원권은 갖고 있지 말고 한은 창고에 넣어라는 것이다.
효과가 어떻게 나타날지는 단정하기 어렵다. 은행 등 금융사들이 불필요하게 5만원권을 쌓아두고 있다는 가정에서만 효과를 크게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이 5만원권을 쌓아두고 있는 상황이 아니어서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신권 확보를 위해 각 은행별로 5만원권 입고 실적을 쌓기 위한 노력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5만원권은 정부가 지하경제 양성화를 중점 과제로 추진하기 시작한 지난해부터 환수율이 급락하고 전체 화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급등하면서 논란에 휩싸였다. 지하경제 양성화 정책이 탈세 등 지하경제 수요를 오히려 늘린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실제로 연도별 환수율은 5만원권 발행 첫해인 2009년 7.3%에서 2010년 41.4%, 2011년 59.7%, 2012년 61.7% 등으로 꾸준히 상승하다가 지난해 48.6%로 뚝 떨어졌으며 올해 1∼9월은 24.4%에 그쳤다. 한은 금고에서 빠져나와 시중에 풀린 5만원권이 1000장이라면 한은에 돌아온 5만원권은 244장에 불과했다는 얘기다.
지난 9월말 현재 시중에 발행된 5만원권은 48조9986억원으로, 전체 화폐(기념주화 제외) 중 68.5%에 달했다. 5만원권의 연말 발행잔액 비중은 2009년 26.6%, 2010년 44.0%, 2011년 53.5%, 2012년 60.4%, 2013년 64.3% 등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박은애 기자
한국은행 5만원 지폐 찾기 나섰다.
입력 2014-11-10 08:53 수정 2014-11-10 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