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다음 주 베이징(北京)에서 열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에 별도 회동을 할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우리 정부도 양측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
이번에 정식 회담이든 비공식 만남이든 어떤 형식으로든 두 사람간의 회동이 이뤄질 경우 아베 총리 취임 이후 첫 중일 정상 간 만남이 된다.
아베 내각의 영토·과거사 도발에 대해 우리보다 더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중일 정상회담에도 부정적이던 중국이 움직일 경우 한중일 3국간 외교 지형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는 관측도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그러나 우리 정부는 중일 정상 간 별도 만남이 성사되더라도 한일 정상회담 개최 여부에는 영향을 줄 수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그동안 일본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과거사 현안에 대해 진정성 있는 조치를 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혀 왔다.
정부 관계자는 7일 “중·일 정상이 만나더라도 전면적인 관계 개선으로 가는 회담은 안될 것”이라며 “더구나 우리가 (한일 정상회담에 대한) 입장을 바꿀 이유도 없고 바꿀 수도 없다”고 말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아베와 정상회담? 입장 안 바꿔..."
입력 2014-11-07 1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