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담뱃값 인상 발표 이후인 9~10월 금연클리닉 등록자가 9만1855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6만475명보다 1.5배가량 증가했다고 6일 밝혔다. 9월 11일 정부가 담뱃값을 2000원 올리겠다고 발표한지 두 달 만이다.
시·도별로 금연클리닉 등록자가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세종시(223.4%)였다. 대전(85.1%) 충남(82.3%) 부산(78.2%) 울산(76.5%)도 증가율이 높았다. 반면 광주(4.4%) 충북(14.4%) 경남(30.7%) 대구(35.1%) 인천(39.7%) 전북(44.8%) 서울(46.3%)은 평균(51.9%) 보다 낮았다.
담뱃값 인상을 발표하기 전인 지난 1~8월 금연클리닉 등록자는 24만5915명이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 29만1854명보다 15.7% 감소한 수치다.
복지부는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금연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보건소 금연클리닉 지원예산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2014년 120억원→2015년 374억원). 또 저소득층 흡연치료(2015년도 예산안 128억원), 학교 밖 청소년 금연(51억원), 단기금연캠프(120억원), 대학생 금연(56억원), 여성금연(10억원) 등 대상자 맞춤형 금연 지원 등에도 예산을 적극 편성키로 했다.
금연클리닉은 금연을 희망하는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6개월간 9차례 전문가에게 금단증상 막는 법 등에 대해 상담을 받을 수 있다. 최대 8주간 니코틴 패치·껌·사탕 등의 금연보조제도 지급된다. 필요 시 금단증상을 완화시켜주는 ‘부프로피온’과 흡연 욕구를 줄여주는 ‘바레니클린’ 등 금연치료제도 처방받을 수 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담뱃값 인상 발표후 금연클리닉 등록 1.5배 늘었다
입력 2014-11-06 17:30 수정 2014-11-06 1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