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경북 봉화에서 추락한 25t 짜리 탱크로리에서 새어나온 황산이 수십㎞ 떨어진 지역에서도 유입이 확인됐다.
당국은 안전하다고 말하고 있지만 인근 지역 주민들은 마음을 놓지 못하고 있다.
6일 대구지방환경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8시 25분쯤 사고지점에서 하류 방향으로 25㎞ 떨어진 봉화수질자동측정소에서 수소이온농도(pH)가 7.3에서 5.6으로 감소한 것으로 전했다.
일반적으로 하천 수소이온농도는 평균 6∼8이며, 황산에 오염됐을 경우 6이하로 나오는게 정상.
대구환경청은 “수소이온농도가 5.6 정도면 물을 마시거나 피부에 접촉해도 큰 악영향이 없다”며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할 가능성도 희박하다”고 말했다.
대구환경청은 하류 지역 추가 오염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봉화수질자동측정소 하류 20~30㎞ 구간마다 측정지점 3곳을 정해 수질모니터링을 실시할 계획이다.
사고지점에서 하류로 94㎞와 143㎞ 떨어진 곳엔 각각 안동댐과 예천군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지보취수장이 위치하고 있다.
한편, 지난 5일 오후 4시 35분쯤 봉화군 석포면 석포3리 910번 지방도로에서 황산을 실은 25t 탱크로리가 도로 옆 1m 아래 낙동강변으로 추락했다. 이 사고로 실려 있던 황산 2만ℓ 가운데 2000ℓ가 유출되고 이 가운데 200ℓ정도가 낙동강으로 흘러들면서 밤새 사고지점~낙동강 하류 13㎞ 구간에서 물고기 수백마리가 폐사했다.
신태철 기자 tcshin@kmib.co.kr
헉, 황산 유출 지점 25㎞ 떨어진 강물에도 그 흔적이…
입력 2014-11-06 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