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대북 압박을 종용해온 미국에 반대 의사를 밝혀온 추이톈카이 주미 중국대사가 북한의 인권실태를 국제형사재판소(ICC)에 회부하려는 미국 등 서방국가들의 움직임을 강력히 비난하고 나섰다. 미국 선거제도에 대한 지적도 서슴지 않았다.
추이 대사는 4일(현지시간) 미국 외교전문지 ‘포린 폴리시’와의 인터뷰에서 “미국과 중국을 포함한 어떤 나라도 북한의 내정(domestic affairs)에 간섭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는 북한 인권문제를 ICC에 회부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유럽연합(EU)과 일본 주도의 유엔 북한인권 결의안 초안에 반대한다는 중국 정부의 입장과 다르지 않다. 그러나 해외에 주재하는 공관장이 직접 나서서 공개적으로 비난한 것은 이례적이다.
추이 대사는 “미국이 자신의 견해를 가질 수는 있으나 궁극적으로 이 문제는 북한 인민들의 결정에 달린 것”이라며 “ICC이건 다른 곳이건 문제를 복잡하게 만든다면 그것이 도움이 되거나 건설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 중국의 한반도정책에 대해 “첫째는 한반도 전체의 비핵화, 둘째는 평화와 안정, 셋째는 협상과 대화를 통한 문제의 해결”이라며 “우리는 북한의 비핵화와 안정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이 대사는 지난 4월 미국 평화연구소 강연에서 미국이 북한의 비핵화를 끌어내도록 압박을 가하라고 중국에 주문하고 있는데 대해 “미국이 ‘미션 임파서블’(불가능한 임무)을 주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그는 미국의 선거제도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중국의 경우 지도부가 선거에 의해 선출되지 않아 일반 국민의 정치적 입장을 대변하지 못한다는 지적에 “중국에서는 어느 마을에서 올라온 아무개가 하루아침에 대통령 후보가 될 수 없다”고 미국 선거제도를 비꼬았다. 그리고 “미국에서는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인물이라도 높은 직위에 출마할 수 있는데, 이는 모든 언론을 이용하고 슈퍼 팩(PAC·정치활동위원회)을 통해 돈을 끌어모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홍콩 민주화 시위에 미국이 개입됐다는 주장도 펼쳤다. 그는 “미국의 개인들과 그룹들이 관련돼있는 것으로 본다”면서 “그들은 매우 깊숙이 관여하고 있다. 그들은 부인할지 모르지만, 그들이 분명한 양심을 갖고 부인할 수 있는지 의아스럽다”고 언급했다. “미국 국무부를 지칭하는 것이냐”는 질문에 추이 대사는 “국무부가 (시위 관여를) 부인한 공식 성명을 봤다”면서도 “우리가 그것을 진정으로 믿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오전 존 케리 국무장관은 중국 출국에 앞서 존스홉킨스대 국제관계대학원(SAIS)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추이 대사를 지칭하며 “SAIS의 성공한 동문 중 하나”라고 언급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
주미 중국대사 “북한 ICC 회부 반대…내정 간섭말라”
입력 2014-11-06 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