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오피스텔의 전월세 전환율이 최근 4년 중 최저치를 경신했다. 임대수익률도 약세를 보였다. 오피스텔 공급과잉에 따른 여파로 분석된다.
6일 KB국민은행 부동산 통계에 따르면 서울 오피스텔의 평균 전월세 전환율이 연 8.06%로 2010년 7월 국민은행이 오피스텔 통계 조사를 시작한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전월세 전환율은 전세보증금 일부를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연 이자율을 의미한다. 월세금에 12를 곱한 뒤 전세금에서 월세보증금을 뺀 금액으로 나누고 여기에 100을 곱한 값이다. 전월세 전환율이 떨어지면 집주인은 임대료 수입이 줄어드는 반면 세입자는 상대적으로 월세를 아낄 수 있게 된다.
서울 오피스텔의 전월세 전환율은 2010년 10.08%, 2011년 9.31%, 2012년 9.06%, 지난해 8.61%로 매년 꾸준히 낮아지는 추세다. 올해 들어서도 1월 8.57%, 3월 8.47%, 5월 8.36%, 7월 8.19%, 9월 8.09% 등으로 떨어지며 매달 최저치 기록을 갈아치웠다.
단기적인 오피스텔 공급과잉에 오피스텔의 대체재로 볼 수 있는 도시형 생활주택, 다세대·다가구주택 등의 공급 열풍으로 수요가 분산됐기 때문이다.
임대수익률도 약세를 이어갔다. 2010년 5.94%였던 임대수익률은 5.70%(2011년)→5.63%(2012년)→5.62%(지난해)로 매년 낮아졌다. 올해 들어서는 4월 5.60%로 최저점을 찍은 뒤 5월 5.62%로 소폭 상승했고, 3개월간 같은 수준을 유지하다 8월 5.61%로 다시 하락했다. 9월에는 5.62%로 소폭 상승한 뒤 지난달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
서울 오피스텔 공급과잉 조짐… 전월세 전환율 최근 4년 중 최저치
입력 2014-11-06 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