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길(74·사진) 전 민주노동당 대표가 “통합진보당 일부 당원들의 문제는 헌법 테두리 안에서 충분히 용해될 수 있고 풀어낼 수 있는 문제”라며 “‘강제적 이혼’이 아니라 (함께) 잘 살아갈 수 있는 토론과 화해를 위한 대화의 장을 마련해 달라”고 호소했다.
권 전 대표는 4일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17차 공개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해 통진당의 전신인 민노당 창당·운영에 북한의 지령이 개입됐다는 주장을 강하게 부인했다. 민노당 창당을 이끌었던 그는 “우리가 만들고자 했던 진보정당은 철저하게 국민 뜻에 따라 움직이고 국민 지지를 받는 당이었다”며 “옛날처럼 혁명을 통해서 진보정치의 뜻을 이루려는 사람들은 철저히 배격했다”고 말했다. 북한식 사회주의 혁명을 추종하는 민족민주혁명당 잔존세력들이 민노당에 참여했고, 이들이 통진당을 장악했다는 법무부 측 주장을 반박한 것이다.
권 전 대표는 법무부가 주장하는 RO세력에 의해 당이 좌지우지됐다는 주장에도 동의하지 않았다. 그는 “민노당은 민주노총이 주도해서 만든 당으로 당원의 압도다수는 민주노총 소속 조합원이었다”며 “특정조직의 의견으로 당이 운영됐다는 주장은 민노당 활동을 전혀 모르고 하는 얘기”라고 진술했다.
역시 통진당 측 증인으로 출석한 김인식 노동자연대 발행인 또한 “(RO가 당을 장악했다는 것은) 당원 다수에게 모욕적인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진보적 민주주의’라는 민노당 강령이 북한 지령에 따른 것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도 “선거에서 더 많은 표를 얻기 위해서였다. 북한 지령에 따랐다는 얘기는 소설에 불과하다”고 했다.
민주노총 위원장을 지낸 권 전 대표는 2000년 1월 민노당 창당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이후 2012년 분당사태 당시 통진당과 결별한 뒤 독자노선을 걷고 있다. 대부분의 증거조사를 끝낸 헌재는 한 차례 더 공개변론을 진행한 뒤 올해 안에 통진당 정당해산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
권영길 “통진당 문제, 헌법 안에서 충분히 풀어낼 수 있을 것”
입력 2014-11-04 2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