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단통법 시행 한 달 만에 발생한 ‘아이폰6 대란’을 진화하기 위해 강경대응에 나섰다.
2일 휴대전화 관련 커뮤니티에 따르면 이날 새벽에 이뤄진 아이폰6 보조금 대란으로 개통한 소비자들에게 일부 판매점들이 기기 회수 요청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50만원에 가까운 보조금이 투입된 아이폰6 대란에 약 1만여 명이 구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해당 업체들은 아이폰6를 구입할 때 현금완납, 페이백의 방법으로 소비자들을 끌어들였다.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휴대전화 대리점과 판매점 앞에서 새벽 내내 줄을 섰다.
그러나 방송통신위원회가 이동통신(이통)3사 임원을 소집해 아이폰6 보조금 대란에 대한 강력한 제재를 예고했다. 이에 판매점들은 기기 회수 등의 조치를 통해 개통 철회에 나섰다.
3일 여러 스마트폰 전문 사이트에서는 “개통 취소 전화가 왔다” “기기 반납하라고 연락이 왔다” “개통 시간 지났는데 예전 휴대전화가 다시 살아났다” 는 글들이 올라오고 있다. 일요일까지 개통 업무를 완료하지 못한 건은 취소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네티즌의 의견이다.
또 아이폰6 보조금 대란 당시 예약 신청만 하고 기기를 받지 않는 소비자들에 대해서는 통신사의 공식 보조금을 받고 개통해야 한다고 통보했다.
이에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판매점들이 미끼로 내세웠던 단말기 할부금 완납과 페이백마저 백지화될 거라는 불안감이 커졌다. 이통사들을 향한 방통위의 강력 경고에 휴대전화 시장 판도에 영향을 미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편 방통위는 현장에 시장조사관을 파견해 보조금 지급 방식과 규모 등을 파악해 조사결과에 따라 이통사 과징금 부과나 대리·판매점 과태료 부과 등 후속 조치를 검토할 예정이다.
최영경 기자 ykchoi@kmib.co.kr
정부, 아이폰6 불법 보조금 강경대응…기기회수·개통철회
입력 2014-11-04 15:11 수정 2014-11-04 1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