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에 처음 도입된 ‘9시 등교제’가 2015학년도부터 서울시 도입이 추진되고 있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학생독립운동기념일'인 3일 서울 학생의 자치와 건강권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면서 "2015학년도부터 서울교육청 관내 모든 초·중·고등학교의 등교시간을 학교 현장 구성원들의 충분한 토론을 바탕으로 자율적으로 9시로 늦출 수 있도록 대토론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서울교육청은 내년부터 '9시 등교' 실시를 기본 방침으로 정하고 학생과 학부모, 교사 등 학교 구성원의 의견을 수렴해 합리적인 방식으로 진행되도록 TF를 구성하고 토론회·공청회 등을 개최할 방침이다.
조 교육감은 이를 통해 학생들의 건강한 생활습관 형성을 돕고 청소년기의 신체적 특성에 맞는 적절한 수면과 휴식으로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경기도 교육청에서 시작된 9시 등교제는 전북·광주·제주 등 진보교육감 당선 지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경기도에서는 9월1일 기준으로 도내 초·중·고 2250개교 중 약 90%에 해당하는 2028개교가 9시 등교제를 시행 중이다.
'9시 등교'는 학생들의 건강권과 인성교육을 위해 경기교육청이 가장 먼저 시행에 들어갔으나 맞벌이 가정 문제 등 부작용이 제기되면서 정치권을 중심으로 찬반 논란이 거셌다.
최영경 기자 ykchoi@kmib.co.kr
서울 초·중·고교도 내년 1학기부터 '9시 등교'?
입력 2014-11-03 13:21 수정 2014-11-03 1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