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의무휴업을 해도 전통시장을 찾는 이들이 크게 늘어나지 않는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3일 소비자 8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형마트 의무휴업 효과 소비자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형마트 의무휴업으로 인한 전통시장 방문 증가 횟수는 연간 평균 0.92회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마트 휴무에도 불구하고, 전통시장 방문 증가 횟수가 한 번도 늘지 않았다는 응답이 64.3%로 가장 많았고, 1~2회 증가(23.1%), 3~4회 증가(8.8%), 5~6회 증가(2.3%) 등의 순으로 응답이 많았다. 전통시장을 찾지 않는 이유로는 카드 결제의 어려움 응답이 55.2%로 가장 많았고, 주차장 시설 없음(43.9%), 교환 및 환불 어려움(37.1%) 등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에 쇼핑 대체 방안으로 동네 중대형슈퍼마켓과 다른날 대형마트 이용이 각각 38.0%, 24.0%로 나타났다. 반면 대형마트 영업규제를 통해 이용율을 높이려 했던 동네 소규모점포나 전통시장에 대한 이용 응답은 각각 11.1% 및 9.4%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대형마트 의무휴업 제도의 개선 방향에 대해서는 폐지 또는 완화가 61.5%였고, 현행 유지가 28.3%, 규제 강화가 10.2%로 나왔다. 전경련은 “대형마트 의무휴업은 전통시장 보호측면에서 정책적 실효성이 결여된 규제이므로,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주장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대형마트 의무휴업 해도, 전통시장 안 찾는다
입력 2014-11-03 1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