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제2롯데월드 개장 후 잠실지역 교통난을 우려해 주차 사전예약제와 주차요금 전면 유료화를 임시사용 승인조건으로 내걸면서 주차장 이용률이 20%에 그치고 있다.
2일 롯데그룹에 따르면 제2롯데월드는 개장 첫 6일간 70만명이 방문하는 등 인기몰이에 성공했지만 주차장의 평일 총 입차대수는 평균 1800대, 주말에는 2100대 수준에 머물렀다.
평일에는 전체 주차면적의 약 20%, 주말에는 24%만 사용된다는 의미다.
반면 송파대로 건너편 롯데백화점 잠실점 주차장은 북새통을 이뤄 제2롯데월드와 대조를 이루고 있다.
총 주차면수가 3300면인 롯데백화점 잠실점 주차장은 제2롯데월드 개장 이후 평일에는 약 8000대, 주말에는 약 1만대가 드나들고 있다.
평일 주차장 이용률은 73%, 주말은 92%에 이른다.
또 잠실점 인근에 마련한 190면 규모의 관광버스 전용 주차장은 주말·주중 가릴 것 없이 매일 500대가량이 드나들고 있다.
관광버스 이용객 대부분은 제2롯데월드 내 면세점을 이용하려는 중국인 관광객으로 내국인은 주차에 불편을 겪고 중국인은 주차 걱정 없이 최신 시설을 이용하는 상황이 빚어진 것이다.
서울시의 강력한 주차정책 탓에 제2롯데월드에서 물건을 사더라도 주차요금 할인 혜택을 전혀 받을 수 없다.
이 때문에 제2롯데월드 내 롯데시네마에서 9000원을 내고 3시간 동안 영화를 봤다면 주차요금 1만8000원(10분당 1000원)을 고스란히 내야 한다. 배보다 배꼽이 큰 셈이다.
더구나 방문 전 사전예약을 하지 않으면 이마저도 이용할 수 없다.
제2롯데월드 주차장 대신 잠실 주변의 불법 주정차도 급증하면서 인근 주민들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대해 네티즌들은 “서울시 공무원들은 뇌가 없냐” “주차비! 헐^^^ 장난 아님 배보다 배꼽이 더 크네. 우리나라가 OECD 국가들처럼 선진국도 아닌데 뭔 물가가 이리 비싸냐!” “서울시장님 홧팅!!!^^^ 권리만 있고 책임은 없는 슈레기 기업놈아, 이번엔 책임이란 것도 좀 져봐”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이명희 기자 mheel@kmib.co.kr
제2롯데월드 무턱대고 갔다간 주차요금 바가지
입력 2014-11-02 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