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고용 박한 사회… 30대그룹 중 24개 그룹 미달, 국회·교육청도 기준 안지켜

입력 2014-10-30 15:31
서울시 장애인 취업박람회. 강희청 기자

30대 그룹 중 24곳이 장애인 고용에 인색한 것으로 나타났다. 입법기관인 국회와 교육 정책을 담당하는 7개 시·도교육청들도 장애인 의무 고용 기준을 지키지 않았다.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장애인 의무 고용률을 지키지 않은 공기업·준정부기관과 국가·지자체·민간기업 등 총 1683곳의 명단을 30일 공개했다.

1683곳 중 민간기업은 1670곳이었으며 1000명 이상 대기업이 149곳이었다. 특히 이 중 91곳은 30대 그룹 계열사였다. 장애인 고용률 미달 계열사가 없는 기업집단은 동국제강, 두산, 삼성, 한화, 한국지엠, 에쓰오일 등 6곳에 불과했다. 미달 계열사가 많은 그룹은 포스코(7곳), GS(7곳), 동부(7곳), 한진(5곳), KT(5곳), CJ(5곳) 등이었다.

국회도 장애인 고용률이 1.47%에 불과해 의무고용기준(1.8%)을 지키지 않았다. 경기(1.12%), 충남(1.36%), 인천(1.39%), 서울(1.43%), 세종(1.48%), 부산(1.50%), 대구(1.64%) 등 7개 교육청도 장애인 고용에 박했다.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국립박물관문화재단, 기초과학연구원, 한국국방연구원, 한국원자력의학원 등 공공기관 5곳도 기준 미달로 공표대상에 포함됐다.

명단공표 내용은 노동부(http://www.moel.go.kr),, 한국장애인고용공단(http://www.kead.or.kr) 홈페이지, 관보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