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으로부터 자국인 납치 문제의 재조사 상황을 청취한 일본 정부 방북단이 30일 오후 귀국해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에게 관련 내용을 보고한다. 북·일 간 구체적인 논의 내용과 납북자에 대한 새로운 정보 청취 여부는 아직 알려지지 않고 있다.
하지만 북한이 일본의 핵심 요구 사안인 ‘납치된 12명의 신원 정보’에 대해서는 제출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방북 성과가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2명은 일본 정부가 공식 인정한 ‘납북자 명단’이다. 이들 신원 정보의 획득 여부는 ‘대북 제재 해제’가 걸린 북·일 협상의 핵심 사안으로 방북 성과를 판가름한다. 그간 북한은 이들 중 8명이 이미 사망했고, 나머지 4명은 북한으로 입국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반복해서 주장해왔다.
때문에 일단 이하라 준이치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의 보고 내용 중 납북자 문제에 대한 새로운 내용이 있을지가 주목된다. 마이니치신문은 “아베 총리가 이날 중의원 예산위원회에 출석해 평양에서 열린 북·일 회담에 대해 ‘보고를 받게 되면 국민에게 말하겠다’고 했다”며 “총리가 관련 내용을 직접 발표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지난 27일 납치문제 협의를 담당하는 일본 당국자로는 10년 만에 방북한 이하라 국장은 평양에서 특별조사위 위원장인 서대하 북한 국가안전보위부 부부장과 만나 총 10시간 30분에 걸쳐 조사 상황을 들었다. 당시 이하라 국장은 일본 정부가 공식 인정한 이른바 ‘공인 납북자’ 12명에 대한 조사를 최우선시하라고 요구했고, 북측은 “아직 초기단계로, 조사 준비 단계에 있다”는 인식을 피력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일본 대표단의 평양행은 지난 9월 29일 중국 선양에서 열린 북·일 외무성 국장급 협의 때 “당국자를 파견해 직접 납치문제 조사상황을 청취하라”는 북한의 제안에 일본이 응하면서 성사됐다. 앞서 지난 5월 말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진행된 북·일 외무성 국장급 회담에서는 북한이 일본 정부가 공인한 납북자, 납북이 의심되는 실종자 등 자국 내 모든 일본인에 대한 포괄적인 조사를 하기로 합의됐었다.
양국 합의에 따라 북한은 생존이 확인된 일본인은 귀국시키는 방안을 추진하고, 일본은 지난 7월 북한의 특위 설치, 조사 착수에 맞춰 대북제재 일부를 해제했다. 그러나 일본의 핵심 요구사안인 12명의 생존자 명단의 확보 여부가 계속 불투명한 상태에 머물면서 “아베 총리의 북·일 협상이 성급했다”는 일본 내 비판 목소리도 커질 조짐이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
일본 ‘납북자 방북단’ 귀국… 아베 결과 직접 발표
입력 2014-10-30 13:52 수정 2014-10-30 1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