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마을어장 갯녹음 치유사업 효용성 논란

입력 2014-10-29 16:50 수정 2014-10-29 16:52
제주도가 매년 수십억 원을 투입해 마을어장 갯녹음 방지 사업을 벌이고 있지만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제주도는 도내 마을어장(1억4431만㎡)의 갯녹음 발생 면적이 1988년 2931만㎡(20%)에서 2004년 4541만㎡(31%)로 증가했다고 29일 밝혔다.

갯녹음 확산 방지를 위해 실시되는 사업은 해중림 및 바다숲 조성, 연안바다목장화, 마을어장 해조류 회복 등이다. 이들 사업에 투입되는 예산은 2011년 46억5400만원에서 2012년 59억8800만원, 2013년 61억원, 올해 95억7000만원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의 2011년 조사 결과 마을어장의 40%인 5775만㎡에서 갯녹음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치유 사업효과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제주지역 갯녹음 발생지역은 제주 남부에서 서부, 북서부, 북부 등으로 점차 확산되고 있고, 수심도 조간대에서 3∼5m로 깊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도 관계자는 “수산자원관리공단은 2004년 조사 대상에서 제외됐던 암반지역을 포함했기 때문에 갯녹음 발생의 증감 여부를 판단하기에는 적절치 않다”며 “갯녹음 발생 면적은 마을어장의 30%대 초반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도는 내년에 2억원을 들여 실태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