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스마트폰 사업을 본격화한 2010년 이후 스마트폰 부문에서 최대 분기 실적을 냈다. 3분기 전체 영업이익은 4613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9일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2분기(6062억원)보다 23.9% 감소했지만 작년 3분기(2178억원)와 비교하면 111.8% 증가했다.
이는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증권사 전망치인 4404억원을 소폭 넘어서는 수준이다.
매출은 14조9164억원으로 전분기(15조3746억원)보다 3.0% 감소했으나 작년 동기(13조8921억원)보다 7.4% 늘었다.
지난해보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개선된 이유는 스마트폰 사업 덕분이라는 게 LG전자의 설명이다.
스마트폰 사업을 이끄는 MC(모바일커뮤니케이션)사업본부는 3분기에 매출 4조2470억원, 영업이익 1674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LG전자가 스마트폰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2010년 이후 세운 분기 최대 실적이다.
전략 스마트폰 G3를 비롯한 G시리즈와 L시리즈Ⅲ 등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전분기 대비 17.3%, 94.8%씩 증가했다.
스마트폰 판매량도 1680만대로 2분기에 기록한 스마트폰 분기 최대 판매기록(1450만대)을 갈아치웠다.
롱텀에볼루션(LTE) 스마트폰 판매량도 650만대로 2011년 5월 처음 출시한 이후 역대 최대 기록을 세웠다.
MC사업본부와 달리 다른 사업본부는 고전을 면치 못했다.
TV 사업을 담당하는 HE(홈엔터테인먼트)사업본부 매출은 4조7104억원으로 전분기보다 7.5% 하락했다.
PDP(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TV와 모니터, 오디오·비디오(AV) 수요 감소가 매출 하락으로 이어진 것이다.
영업이익도 1305억원으로 2분기보다 15.5% 감소했다. LG전자는 시장경쟁 심화에 따른 판매가격 하락을 원인으로 꼽았다.
생활가전을 맡은 HA(홈어플라이언스)사업본부는 매출이 2조9115억원, 영업이익은 518억원이었다.
이명희 기자 mheel@kmib.co.kr
LG전자 3분기 스마트폰부문 최대 실적
입력 2014-10-29 1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