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생 46%, 폭력·저작권 편취 등 부당처우 경험…권리장전 선언

입력 2014-10-29 14:17 수정 2014-10-29 14:49
사진은 기사내용과 관련없음. 국민일보DB

대학원생의 절반 가까이가 교수로부터 언어·신체·성적 폭력이나 차별, 사적노동, 저작권 편취 등 부당처우를 당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9일 대통령 직속 청년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6월 전국 대학원생 2354명을 대상으로 '대학원생 연구환경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자의 45.5%가 "부당처우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14개 대학교 대학원 총학생회와 함께 온라인과 모바일을 통해 진행됐다.

유형별로는 언어·신체·성적 폭력 등 개인존엄권 침해가 31.8%로 가장 높았고, 사생활 침해, 사적 업무지시 등을 의미하는 자기결정권 침해가 25.8%로 뒤를 이었다.

연구주제·지도교수 선정 강요 등 `학업연구권 침해`는 20.2%, 공저자 강요나 저작자 배제 등 `저작권 침해`는 9.5%였다.

부당처우 경험 빈도는 남성보다 여성이, 석사보다 박사과정이, 실험실·연구실 소속인 경우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전공별로는 예체능 계열의 부당 처우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부당 처우 유형별로는 개인존엄권 침해는 자연계열이, 학업연구권 침해는 예체능 계열이, 자기결정권·저작권 침해는 공학계열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에 응한 대학원생들의 65.3%는 부당 처우를 경험해도 학점·졸업 등에 불이익을 받을 것이 두려워 문제제기 없이 참고 넘어갔다고 답했다.

청년위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날 오전 서울 광화문 드림센터에서 전국 14개 대학교 대학원 총학생회와 함께 `대학원생 권리장전`을 선언했다.

이 권리장전은 3장 14개 조항으로 구성돼 개인존엄권, 자기결정권, 학업연구권, 저작권 등 대학원생의 권리를 명시하고 있다.

청년위는 대학원생의 연구환경 개선을 위해 권리장전을 홍보해 나갈 계획이다.



최영경 기자 yk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