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효성 논란이 일고 있는 전통시장 지원 대책이 보완된다. 주차장 등 획일적인 시설 개선 대책보다 시장의 특색을 살릴 수 있는 맞춤형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소기업청은 2017년까지 375개 특성화 시장을 집중 육성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한 ‘개성과 특색 있는 전통시장 육성 방안’을 28일 발표했다.
우선 전통시장의 입지와 잠재역량을 3개 유형으로 분류해 특성화 시장으로 키울 예정이다. 기존 문화관광형 시장 외에 도심골목형 시장, 글로벌명품 시장을 추가했다. 골목형 200개를 비롯해 문화관광형 165개(기존 94개 포함), 글로벌 명품 10개 등 모두 375개의 특성화 시장을 육성한다.
도심골목형 시장의 경우 서울 통인시장의 도시락 카페나 수유시장의 도서관처럼 시장 특성에 맞는 대표 브랜드를 보유하게 된다. 특화 상품 공동 브랜드화와 프랜차이즈화에 소요되는 비용, 신메뉴·레시피 연구개발, 상품 진역·포장 방법 개선, 직거래 판매시스템 구축 등을 정부가 지원한다. 대표 점포 육성을 위해 업종별 전문교육 및 자금·컨설팅을 연계 지원한다.
문화관광형 시장은 예술공방 등 문화공간을 설치해 지역 예술인 등과 연계한다. 동피랑별화마을이 인접한 통영중앙시장처럼 시장과 관광지를 연계한다. 대구 방천시장의 김광석거리처럼 유명인을 주제로 한 테마거리도 만든다. 글로벌 명품시장은 외국인 대상 빅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한류와 연계한다. 국산 유명상품을 손쉽게 구입할 수 있는 ‘메이드 인 코리아 명품 면세거리’ 설치도 추진한다. 외국인 안내센터, 통역 가이드 배치 등 쇼핑 편의성도 높인다.
이 밖에 고객 편의시설을 확충하고, 입구·간판·상인복장 등에 시장 특색을 반영한 디자인을 적용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이를 통해 특성화 시장 고객 만족도를 지난해 66%에서 2017년까지 80%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정부는 2002년부터 2013년까지 1045개 시장의 시설 현대화 등이 국비 2조원과 지방비 1조1000억원 등을 지원했지만 전통시장 매출은 지속 감소해왔다. 2006년 24조9000억원이었던 매출은 지난해 19조9000억원까지 떨어졌다. 이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면서 전문가·상인의 토론회와 시장 실태조사 등을 통해 맞춤형 육성 방안을 새로 마련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정부 ‘1시장 1특색’ 맞춤형 전통시장 육성방안 마련
입력 2014-10-28 1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