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 학생들이 유정복 인천시장을 공개적으로 비판하고 나섰다.
28일 인천대총학생회에 따르면 2013년 1월 18일 국립대학 법인으로 전환한 인천대는 국가와 인천시의 홀대 속에서 공간부족 문제, 운영비 부족 등 대학의 발전은커녕 후퇴를 걱정하는 상태라는 것이다.
학생들은 “애초부터 국립대학 법인화를 통해 국립대에 대한 지원을 축소하려 했던 국가는 5년 동안 국비지원이 없다는 말도 안 되는 조약을 넣어 2013년 전환이후 2년이 지나도록 운영비지원을 하지 않고 있다”고 따졌다.
특히 인천시는 시장이 직접 약속한 합의조차도 지키지 않을 뿐더러 거점국립대로 육성하겠다는 말만하고 실제 인천대에 꼭 필요한 시립대학발전기금은 회수, 지방대학 특성화 지원조례는 폐지하려는 움직임을 취하고 있어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학생들은 “인천대 건물 신축은 최소한의 교육 여건을 보장하는 것”이라며 “지금 인천대는 학생들 교육에 꼭 필요한 강의실과 실험실습실도 턱없이 부족하고, 밥도 제대로 먹지 못하며 떠돌이 생활할 만큼 최악의 공간 부족 문제를 겪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럼에도 인천시는 시장이 직접 합의한 신축비용 지급은 하지 않고 있어 말썽이다.
이 때문에 애초 예정시점인 2015년 4월 완공은 불가능해진데다 임금 체불로 인부들이 총장실까지 항의방문 하는 등 소동을 일어나고 있다.
학생들은 “문제 해결을 위한 협의과정에서 인천시는 자기일 아니라는 듯 방관하고, 시장은 학생들이 요청한 두 번의 면담에조차 응하지 않았다”면서 “지금까지 신뢰를 보여주지 못한 인천시와 인천도시공사는 지금이라도 인천시장이 직접 나서 법적 효력을 가지는 방법으로 공증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학생들은 또 “인천시는 시립대학 발전기금과 지방대학 특성화사업 지원 조례 폐지를 멈춰야 한다”며 “시립대학 발전기금은 애초에 인천시 출연금 없이 캠퍼스 내 매점과 식당, 카페 등의 운영수익과 임대료 수입 등을 통해 조성된 것이기에 인천대에 전출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학생들은 자신들의 요구가 달성될 때까지 인천시청 앞에서 기다리겠다는 입장이다.
전문가들은 “인구 300만명 규모의 인천에 인천대를 시립대에서 국립대로 전환하도록 승인한 정부가 국고지원을 하지 않는 것은 책임방기”라며 “예산을 지원하지 않는 국립대는 껍데기에 불과하다”고 질타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
인천대 총학생회, 시비지원 약속이행 요구하며 유정복인천시장 압박
입력 2014-10-28 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