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20대·30대 젊은 층의 가계대출 규모가 급격히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속도 관리도 사실상 실패 상태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27일 금융감독원과 나이스신용정보가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강기정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3분기 가계대출액은 1분기보다 19조2477억원이 증가했다. 반년 사이 가계부채 증가 폭은 3.56%로 집계됐다. LTV(주택담보대출비율)와 DTI(부채상환비율) 규제 완화 등 부동산 활성화 정책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문제는 이와 같은 가계대출 증가세가 20대·30대 젊은 층에서 두드러졌다는 점이다. 강 의원에 따르면 20대의 가계대출은 이 기간 무려 15.62% 증가했다. 30대의 가계대출 역시 10.01% 증가했다. 40대(3.90%) 50대(1.61%) 등의 가계대출 증가 폭이 평균 이하에 그친 것과 비교해 높았다.
늘어난 가계대출에서 시중은행이 차지하는 비중은 줄어든 반면 고금리의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 비중은 커지고 있었다. 가계대출의 질적 악화를 시사하는 부분이다. 강 의원이 분석한 결과 은행 대출(3.16%)보다는 상호금융(4.04%), 여전사(6.24%), 새마을금고(5.10%) 등 제2금융권의 빚 증가 속도가 컸다. 20대의 대출 가운데서는 보험 대출의 증가율(30.99%)이 높았다.
강 의원은 “젊은 층에서 대출이 크게 증가하고 제2금융권과 대부업권의 대출이 늘어나는 것을 막지 못한다면 미래의 우리나라 경제에 큰 근심거리가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날 종합국정감사에서 새누리당 김종훈 의원도 “‘돌려막기’를 해야 하는 다중채무자 서민의 숫자가 늘고 있다”며 “이는 가계의 어려움에 그치지 않고 정부의 부담으로 돌아온다”고 경고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
가계부채 허리 휘는 젊은세대
입력 2014-10-27 1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