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우융캉은 왜 빠졌을까…4중전회 폐막

입력 2014-10-24 13:50
저우융캉. SBS 캡처

공산당 제18기 중앙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4중전회)가 23일 막을 내렸지만 예상과 달리 저우융캉 전 정치국 상무위원 겸 중앙정법위원회 서기에 대한 처리 방침이 발표되지 않았다. 뻔한 ‘법치’와 관련한 청사진보다는 오히려 저우융캉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중국 언론들은 4중전회 폐막 소식을 전하면서 저우융캉에 대해 전혀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홍콩과 서방 언론들은 저우융캉이 빠진 이유에 대해 이런 저런 추측을 내놓고 있다.

우선 공산당 내부 갈등설이다. 저우융캉이 워낙 거물이라 내부 조율이 쉽지 않았다는 분석이다. 홍콩의 정치분석가 조니 라우는 24일 사우스모닝포스트(SCMP)에 “저우융캉의 언급이 없었던 것은 최고 지도부가 ‘법치’에 기반한 재판 준비를 위해 시간이 더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그는 “시진핑 국가주석이 추진하는 개혁이 공산당 내에서 강한 저항을 겪고 있다”면서 “시 주석이 추진하던 행정심판제도 등 사법개혁 조치들이 결정문에 빠진 것도 같은 이유”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시 주석의 군내 측근인 류위안 총후근부 정치위원(상장·한국군 대장)과 장여우샤 인민해방군 총장비부 부장(상장) 중 한 명이 중앙군사위 부주석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지만 실현되지 못했다.

저우융캉이 이번 4중전회에서 논의될 대상이 아니라는 분석도 있다. 장밍 인민대 교수는 “저우융캉은 이미 중앙위원이 아니다”면서 “그동안의 관례에 따라 중전회에서는 축출 여부가 논의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보시라이 전 충칭시 서기는 중앙위원직을 박탈당한 이후 2012년 17기 7중전회에서 쌍개(雙開·당원의 공직을 박탈하고 출당조치하는 것) 처분을 받은 사례도 있었다.

이밖에 저우융캉의 처리 방침이 나올 경우 이번 4중전회의 관심을 가려버릴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라는 얘기도 있다. 미국 브루킹스연구소의 청리 연구원은 로이터통신에 “4중전회에서 저우융캉 사건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공산당 지도부는 저우융캉으로 인해 중요 정치 행사를 퇴색시킬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제 관심은 오는 25일 열리는 공산당의 감찰·사정 총괄기구인 중앙기율검사위원회의 제4차 전체회의에 쏠려 있다.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지난 7월 29일 공산당 당장(당헌)과 공산당 기율검사기관 업무 조례 규정에 따라 저우융캉에 대한 기율위의 공식 조사 결정을 내린 바 있다. 이후 기율위는 저우융캉에 대한 당 차원의 비리 조사에 착수했다. 이번 기율위 전체회의에서 저우융캉 사건을 다룬다면 당 차원의 조사가 끝나고 검찰로 송치한다는 조치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 발표가 없다면 앞으로 기율위 차원의 조사가 더 필요하다는 얘기가 된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