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 분기보다 0.9% 성장했다. 하지만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3.2%밖에 성장하지 못했다. 5분기 만에 최저치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를 보면 3분기 GDP는 전 분기보다 0.9% 증가했다. 세월호 참사로 2분기 0.5%로 둔화됐다가 1분기 수준으로 회복된 것이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국정감사에서 “3분기에 회복 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었다.
회복 움직임을 보였다지만 전년 동기 대비 GDP 성장률은 지난해 2분기(2.7%) 이후 5분기 만에 최저치다.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지난해 3분기 3.4%, 4분기 3.7%, 올해 1분기 3.9%로 상승세를 보이다 2분기부터 3.5%로 둔화됐다.
민간소비는 준내구재와 서비스를 중심으로 전 분기보다 1.1% 성장했다. 지난 분기 감소세(-0.3%)에서 점차 회복되고 있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정부소비 역시 재정보강과 지방선거로 이연된 지방정부 재정 집행으로 2.2% 늘었다.
수출은 LCD와 자동차, 화학제품을 중심으로 전 분기보다 2.6% 감소해 2008년 4분기(-4.3%) 이후 최대의 하락폭을 보였다. 엔저 등 환율요인과 자동차업계 파업 등 특수요인의 영향이 컸다. 설비투자도 0.8% 줄었다. 정부가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등 공을 들이고 있지만 투자심리가 회복되지 않고 있다.
국내총소득(GDI)은 교역조건의 악화로 0.3% 증가하는 데 그쳐 2012년 2분기(0.2%) 이후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박은애 기자 limitless@kmib.co.kr
실질 GDP 성장 5분기 만에 최저…전 분기보다 0.9%
입력 2014-10-24 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