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해녀문화 유네스코 등재 위한 후속조치 서둘러야

입력 2014-10-23 14:56

‘제주해녀문화’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등재하기 위해서는 목록 작업 등 전승·보존을 위한 후속 조치를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제주학회는 최근 제주해녀국제학술대회를 열고 “유네스코 등재는 제주해녀문화를 지켜주겠다는 약속이 아니라 우리가 어떻게 보호하겠다는 다짐을 하는 것”이라며 “전승보전에 대한 유네스코의 의지를 감안해야 한다”고 밝혔다.

유철인 제주학회 회장은 “고령화 등으로 해녀 수가 줄어들고 있지만 물리적으로 이를 확대하기 어려운 만큼 ‘현상 유지’ 또는 유지 가능한 규모로 조정하는 방안을 폭넓게 검토해야한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유 회장은 “생업을 중심으로 형성된 문화인만큼 경제적 측면(직업)과 문화적 측면의 균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해녀가 사라진다는 위기감과 해녀문화의 소멸은 접근방법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고 강조했다.

해녀들 스스로 연간 작업시간 축소와 마을어장 관리를 통해 자생 능력을 유지하는 한편 지역사회공동체가 주축이 돼 ‘전승’을 전제한 해녀문화 목록작업과 커리큘럼을 개발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이와함께 ‘해녀’조직의 존속을 위한 방안은 해녀공동체 내부의 합의를 통해 진행하고, 해녀문화는 공동체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을 기준으로 ‘목록 작업화’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번 대회에서 참석자들은 “지역 내 교육 현장에서 이를 배우고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할 때 지속가능한 보존·전승이 가능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