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차 성징에 따른 다른 신체적 발육은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사춘기가 지나도록 음모가 정상인에 비해 훨씬 적은 경우를 빈모증이라고 하며, 이 중에서 아예 털이 없는 경우를 무모증이라고 통상적으로 칭한다.
털이 부족하다는 것 외에 별다르게 인체에 해를 끼치는 병은 아니지만 대중 목욕탕 등 한국 단체문화의 특성과 털이 없다는 것에대한 사회적 편견으로 인해 무모증과 빈모증에 고통 받고 있는 여성들의 경우강도가 높은 스트레스에 시달리며 이로 인해 정신적 질환을 얻게 되는 등의2차 질환에 시달리고 있다.
그렇다고 무모증, 빈모증을 치료하기도 쉽지 않은 일이다. 우선 국내에 무모증, 빈모증을 치료하는 병원의 수가 적으며 디자인적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무작정 모발을 채취해 음부에 심음으로써 음부 염증이나 이식한 털이 손상돼 이식 전과 다를게 없는 상태가 되는 케이스가 많기 때문이다.
다나성형외과에서 무모증을 전담하는 김나래 원장은 “무모증, 빈모증의 경우, 약물치료, 식이요법 등의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치료가 어려운 병으로써 현재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정평이 나 있는 방법은 환자의 후두부 쪽 모낭을 채취하여 이식하는 것이다. 하지만 무작정 모낭을 채취하여 이식하다 보면 속옷 경계라인을 벗어나서 지저분하게 보이거나 이식한 모낭이 손상되어 탈락되는 현상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다나성형외과는 음모의 자연스러운 이식을 위해서 피부의 할선을 이용하는 이식방법을 택하고 있다. 보통 자연스럽게 자라난 음모의 경우 음핵을 향해서 피부의 할선을 따라 분포하기에 이식한 음모도 이 방향을 따라서 이식을 하면 훨씬 자연스러움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실제 다나성형외과에서 사용하는 이식방식을 적용하면 음모의 디자인을 역삼각형, 마름모형, 다이아몬드형, 분산형 뿐만 아니라 환자가 원하는 모든 스타일로 자연스러운 이식이 가능하다.
김나래 원장은 “다나성형외과에서는 무모증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최대한 존중하기에 수술 전, 후 전혀 사진 촬영을 하지않는다. 빈모증/무모증의 경우 여성의 은밀하고 감추고 싶어하는 부위에 하는 이식인 만큼 해당의 사진이 남에게 보여질 경우, 사진 당사자의 프라이버시가 심각하게 훼손된다”면서 “만약 어떠한 병원에서 음부 수술 부위사진을 보게 된다면 그 것은당신의 음부 수술 부위의 사진이 다른 사람의 상담을 위한 사진 자료로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모발이 자라는 성장벡터까지 예상하여 각기 다른 굵기의 모발을 이식하여만 디자인 뿐만 아니라 볼륨감까지 살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송병기 기자
여성무모증과 빈모증, 원인과 해결책은?
입력 2014-10-17 1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