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십자(대표 조순태)가 2009년 전남 화순공장에서 인플루엔자(독감)백신을 생산한 지 5년 만에 누적 생산 1억 도즈(1도즈는 성인 1회 접종량) 고지를 넘어섰다.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독감 원액을 생산하기 시작하며 독감백신 자급자족시대를 열었음은 물론 글로벌 시장을 공략한 결과다.
누적 생산량 1억도즈는 녹십자의 독감백신 1회 접종량을 미리 주사기에 채워놓은 제품인 ‘지씨플루 프리필드 시린지 주’(길이 약 8.5㎝ 기준)를 일렬로 늘어놓으면 경부고속도로(416㎞)를 10차례 왕복할 수 있는 길이다. 수직으로 쌓으면 에베레스트산을 960개를 포개 놓은 높이와도 맞먹는다.
독감백신은 미국, 영국, 프랑스 등 10여 개 나라 정도만이 기술을 보유, 전세계대부분의 국가에 백신을 공급하고 있는 공급자 위주의 구조다. AI(조류인플루엔자)와 신종인플루엔자와 같은 세계적인 판데믹(pandemic,전염병 대유행) 상황에서 수입에 의존하는 나라는 백신의 확보를 보장받을 수 없다. 녹십자는 독감백신 원액을 국내 최초로 생산하면서 ‘백신주권’을 확보해,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 판데믹 당시 외국 백신 수급이 원활치 않은 상황에서 신종인플루엔자백신을 국내에 전량 공급했다.
녹십자는 지난 몇 년간 독감백신 국내 유일 생산시설이라는 독보적 위치에 안주하지 않고 글로벌 시장 공략에도 나섰다. 그 결과 이 회사는 세계에서 4번째로 세계보건기구(WHO)의 독감백신 사전적격인증(PQ)을 획득했다. 세계 최대 백신 수요처 중 하나인 WHO 산하 범미보건기구(PAHO) 입찰 물량을 대거 확보할 수 있는 원동력이다.
북반구와 남반구의 독감 유행 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녹십자는 독감백신을 연중 지속적수출하고 있다. 실제로 범미보건기구의 독감백신 입찰은 남반구와 북반구 유행 시기 전에 나눠 열린다. 이에 따라 녹십자는 중남미 30여개 국가에 독감백신을 수출하고 있다.
지난해 녹십자 독감백신 수출액은 280억원에 달했다. 수출을처음 시작한 2010년 수출액 대비 5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이 상승세가 이어져 올해 독감백신 수출고는 400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회사 측은 내다보고 있을 정도다.
이로써 올해 녹십자 독감백신 연간 매출실적은 단일제품으로는 1000억원을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녹십자 독감백신 누적 생산량 1억 도즈 돌파
입력 2014-10-13 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