짜게 먹으면 위암 발생 위험 배 이상 증가…국내 첫 연구결과 발표

입력 2014-10-10 15:07
짜게 먹으면 위암 발병 위험이 높다는 국내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그동안 과도한 소금 섭취가 위암 발병 위험을 높인다는 외국 연구들이 나온 적이 있으나, 국내 연구로는 처음이다.

건국대병원 신장내과 박정환 교수와 서울대 김성권 명예교수 연구팀은 2009~2011년 국민건강영양 조사 참가자 1만9083명을 분석한 결과, 매우 짜게 먹는 사람들(소금 14.1g/일 이상)의 위암 발생률이 1.6%로 싱겁게 먹거나 보통으로 먹는 사람(소금 14g/일 이하)의 0.6%보다 2.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10일 말했다.

또 짜게 먹는 사람들의 유방암 발생률은 1.9%로 싱겁게 또는 보통으로 먹는 사람들의 0.8%보다 2배 높았다.

연구 대상자의 연령은 20~97세로 평균 50세였으며, 남성(45.4%)보다 여성(54.6%)이 다소 많았다. 거주지는 전국에 골고루 분포했다.

연구결과는 대한의학회 영문판 학술지 ‘저널 오브 코리아 메디칼 사이언스(JKMS) 온라인판 최신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단회(單回) 소변 속 나트륨 검사 기록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24시간 나트륨 섭취량을 환산하는 ‘한국인 방정식’(Korea equation)을 이용해 하루 소금 섭취량을 계산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하루 소금 섭취량 5.6g 이하(Ⅰ그룹), 5.7~9.8g(Ⅱ그룹), 9.9~14g(Ⅲ그룹), 14.1g 이상(Ⅳ그룹) 등 4개로 분류했다. Ⅰ그룹은 ‘매우 싱겁게 먹는 사람’, Ⅱ~Ⅲ그룹은 ‘보통으로 먹는 사람’, Ⅳ그룹은 ‘매우 짜게 먹는 사람’이다. 연구팀은 통계학적으로 Ⅰ~Ⅲ그룹은 싱겁게 먹거나 보통으로 먹는 1그룹, 매우 짜게 먹는 Ⅳ그룹은 2그룹'으로 재분류해 1, 2그룹의 위암 발생률을 비교했다고 밝혔다.

교수는 짜게 먹으면 위암 발생률이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 “소금 과다 섭취로 위 속 나트륨 농도가 증가하면 위 점막이 손상되고 염증이 발생하여 질산염과 같은 발암물질에 대한 방어가 약해져 위암 발생이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원인으로는 소금 과다 섭취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증식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꼽혔다. 위암의 주요 원인의 하나로 꼽히는 헬리코박터균은 나트륨이 과도하면 생존과 성장, 세포 변화 등을 더 많이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성권 명예교수(싱겁게먹기실천연구회 이사)는 “그동안 짜게 먹는 사람들의 위암 위험이 높다는 외국 연구들은 많이 나왔으나, 국내에서는 처음 나온 연구결과”라며 “하루 소금 섭취량을 현재 한국인 평균의 3분의 1이하인 3g이내로 줄여야 위암 걱정을 덜 수 있다”고 말했다.

짜게 먹는 그룹의 기준에 대해 김 명예교수는 “설문조사에서 스스로 짜게 먹는다고 응답하는 사람들이 실제로 짜게 먹는 것으로 확인된다”며 “짜게 먹는다고 느끼는 사람들은 위암, 유방암 뿐 아니라, 심혈관질환, 콩팥병, 뇌졸중 등의 예방을 위해 싱겁게 먹도록 적극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짜게 먹는 사람들의 유방암 발병률이 높게 나온 이유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 연구를 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근 국제적으로 권위 있는 학술지인 ‘뉴 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JM)에 실린 ‘전 세계 나트륨 소비와 심혈관 질환에 의한 사망’이라는 논문에서도 나트륨 과다 섭취가 위암 발생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논문은 하루 나트륨 섭취량이 1245㎎(소금 기준 3.1g)일 때 위암 발생 위험이 가장 낮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지난 2009년 ‘고혈압저널’에 실린 논문에서도 소금 섭취량이 많은 국가의 위암 발병률이 비례하는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 이 연구에서 한국인의 위암 사망률은 연구대상 국가 중에서 가장 높으며, 소금 섭취량도 가장 많았다.

한편 이번 대한의학회지에 실린 다른 논문에 따르면 한국인의 하루 평균 소금 섭취량은 9.9g으로 나타났다. 이는 그동안 언론 등에서 소개됐던 약 13g보다는 낮은 수치다. 세계보건기구(WHO)의 하루 소금 섭취 권장량은 5g이다.

이 같은 차이에 대해 김 명예교수는 “13g은 24시간 동안 먹은 식품의 종류를 설문조사한 뒤 이를 바탕으로 섭취한 소금의 양을 추정해 계산한 것이며, 9.9g은 24시간 동안 본 소변 속 나트륨 총량을 측정한 뒤 소금 섭취량을 계산한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