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와 구조 등 긴급상황에 즉시 출동해야 할 소방헬기들이 자치단체 업무지원에 과도하게 동원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주승용(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소방방재청으로부터 받은 ‘소방헬기 비긴급 항공지원 현황’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소방헬기가 자치단체 업무지원에 179회 동원됐다.
지원 유형별로는 투자유치를 위한 항공시찰 등 지자체 업무 지원(62회), 지자체 홍보영상 촬영 및 취재지원(54회), 행사지원(50회), 소나무 재선충 항공 예찰 등 기타(13회) 등으로 시급을 다투지 않는 업무들이었다.
지방자치단체별로는 강원도가 34회로 가장 많았고, 광주(28회), 전남(26회), 대구(18회), 인천(16회) 순이었다.
현재 전국에 운용 중인 소방헬기는 총 26대이며 이 가운데 23대는 14개 시도 항공소방대에 배치돼 있다.
소방헬기를 운용하는 14개 시도는 시·도정 업무지원에 소방헬기를 이용할 수 있다는 근거 규정을 조례에 뒀지만, 이는 소방헬기를 편리하게 동원하기 위한 ‘면죄부’라고 주 의원은 주장했다.
한편 안행위 정청래(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가 2009년 1월부터 지난 7월까지 총 43회 소방헬기를 이용했으며 이 가운데 4회(일)는 산불이 발생해 소방헬기가 출동한 날과 겹친다고 밝혔다.
남호철 기자 hcnam@kmib.co.kr
긴급상황이 발생하면 어쩌려고…소방헬기를 ‘자가용’처럼
입력 2014-10-08 08: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