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해식품, 10개 중 3개만 회수된다

입력 2014-10-07 13:34
위해식품 회수율이 29.3%에 그쳤다. 남은 70.7%의 일부는 여전히 유통되는 것이다.

새누리당 김기선 의원이 7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2013 회계연도 검토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위해식품 회수율이 29.3%로 위해식품 신속회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년간 위해식품 적발 건수는 2011년 274건, 2012년 297건, 지난해 316건으로 꾸준히 증가하며 총 887건을 기록했다. 하지만 적발된 위해식품의 총 생산량 4175t 중 회수폐기량은 1524t에 그쳤다. 또 3년간 평균 회수율은 33.8%이지만 2013년엔 위해식품 회수율이 29.3%에 그쳐 전년대비 9.2% 감소했다.

반면 식약처의 ‘식품안전감시 및 대응’ 사업의 성과지표는 회수율이 아닌 ‘회수효율성’ 평가로 돼있다. 이는 매년 100% 이상 달성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 식약처의 식품이력추적관리제도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식품제조, 기타 식품판매업소 3만3000여개 65개 업체(0.19%), 130만여개 품목 중 586개 품목(0.045%)만이 등록되어 있어 참여율이 매우 저조하다.

김 의원은 “회수율 제고를 위해서 추적관리가 어려운 수입식품, 영세업체 제품에 대한 유통·판매 구조의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