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어닝 쇼크가 수면 위로 올라왔다. 최대 스마트폰 시장인 중국에서 밀린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된다. 다만 바닥을 찍은 만큼 4분기에는 실적 반등에 성공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삼성전자는 올 3분기에 영업이익 4조1000억원(잠정치)을 거뒀다고 7일 공시했다. 올해 2분기(7조1900억원)보다 42.98%, 지난해 3분기(10조1600억원)보다 59.65%나 줄어들었다. 특히 역대 최고 실적이었던 지난해 3분기와 비교하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삼성전자의 분기 영업이익이 5조원 아래로 떨어진 것은 2011년 4분기(4조6700억원) 이후 약 3년 만이다.
삼성전자 영업이익이 2분기에 8조원 아래로 떨어진 뒤 다시 4조원으로 추락하면서 본격적 내림세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올 3분기 매출액은 47조원이다. 매출액도 2분기(52조3500억원)보다 10.22%, 전년 동기(59조800억원)보다 20.45% 각각 줄었다. 삼성전자의 매출액이 50조원 아래로 떨어진 것은 2012년 2분기(47조6000억원) 이후 2년여 만이다.
3분기 영업이익률도 8.72%에 머물러 한 자릿수로 떨어졌다. 삼성전자는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14∼16%대의 영업이익률 고공행진을 벌여왔었다.
삼성전자는 ‘어닝쇼크’의 가장 큰 이유로 IT·모바일(무선사업) 부문 실적 감소를 꼽는다. 영업이익의 70%를 차지했던 IT·모바일 부문은 스마트폰 시장 성장세 둔화, 중국산 저가 스마트폰 공세, 경쟁사인 애플의 아이폰 신제품 출시 등으로 세계시장에서 매출·점유율이 크게 하락했다. 올해 1분기 6조원대였던 IT·모바일 부문 영업이익은 2분기에 4조원대로 떨어졌고, 3분기에는 2조원 초반까지 내려간 것으로 관측된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4분기에는 반등할 수 있다고 본다. 블랙 프라이데이, 크리스마스 등 연말 성수기가 있고 갤럭시 노트4 판매가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2분기와 3분기를 지나면서 중국 시장에서 ‘잃을 만큼 잃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김찬희 김준엽 기자 chkim@kmib.co.kr
[분석] 숫자로 드러난 삼성전자 어닝쇼크…책임은 누가?
입력 2014-10-07 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