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어촌, 신규인력 자원관리 필요하다

입력 2014-10-02 20:00

제주도내 어촌마을이 시장개방과 고령화 등으로 위기를 맞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제주어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신규인력 유입 확대와 자원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제주발전연구원은 수협중앙회 수산경제연구원과 공동 주최한 제7회 수산미래포럼에서 ‘제주어촌의 미래, 어촌자원의 융·복합화’ 주제발표를 통해 2일 이같이 밝혔다.

제주발전연구원은 도내 어업가구·인구가 2011년 5116가구·1만3414명에서 지난해 4752호·1만1497명으로 감소했다고 밝혔다.

잠수어업인(해녀)의 경우 1970년 1만4143명에서 지난해 4507명으로 급감했고, 50세 이상이 전체 98.5%를 차지했다.

마을어업도 전반적으로 침체 상태를 보이고 있다. 생산량 감소와 물가상승에 따른 상대적 가격하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등 시장개방 파고에 흔들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제주발전연구원은 제주 어촌의 융·복합화를 위한 과제로 해녀 가입 확대 등 신규인력 유입, 마을어장 휴식년제 도입 등 자원관리, 관광과 연계한 6차산업화로 일자리 창출 및 소득원 개발, 유네스코 무형유산 등재를 통한 해녀문화의 세계적 가치 인정 등을 주문했다.

제주발전연구원은 “제주해녀문화는 문화관광효과, 역사교육효과 등 가치가 높다”며 “해녀산업을 적극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