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노인의 상당수가 ‘서맥성(느린맥박) 부정맥’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제때에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서울성모병원은 순환기내과 노태호, 김지훈 교수팀이 올해 노인의 날(10월 2일)을 맞아 맞아 서맥성 부정맥 진단을 받고 인공심박동기(페이스메이커)를 장착한 환자 1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첫 증상 인지 후 서맥의 유일한 치료 방법인 인공심박동기 시술까지 걸린 기간이 평균 22.1개월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특히 증상을 느끼고 6개월 이내에 병원을 찾은 환자는 전체의 57%(59명)에 불과했고. 12개월이 경과하고도 병원을 찾은 이가 70%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나머지 30%는 적절한 치료를 받기까지 1년 이상 소요됐다는 얘기다. 심지어 한 환자의 경우 25년을 허비하기도 한 것으로 조사돼 주목됐다.
서맥성 부정맥은 심장이 1분에 50회 미만으로 박동하거나 간혹 수초 이상 정지하기도 해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질환으로, 대표적인 노인성 심장병 중 하나로 꼽힌다. 다양한 원인 중 노화가 가장 큰 원인이다. 흔히 빈혈이나 저혈압, 단순 노화로 인한 무기력증으로 오인해 치료가 적시에 이뤄지지 않으며, 심하면 실신이나 사망으로 이어져 각별히 주의가 필요한 노인성 심장질환이기도 하다. 한국인 유병률은 2012년 기준 인구 100만 명당 53.1명꼴이다.
이들 중 인공심박동기를 단 환자들의 성비는 남자 43%, 여자 57%의 비율이었다. 연령별로는 40대 이하 9%, 50대 13%, 60대 26%, 70대 36% 등의 순서로 많았다. 80대 이상은 17%를 차지했다.
서맥성 부정맥으로 이들이 느낀 증상은 어지럼증, 실신, 호흡곤란, 무력감, 가슴 두근거림, 흉통 등이었다. 이중 실신은 18.9%, 호흡고란은 15.7%, 흉통은 5.5%가 호소했다.
노태호 교수는 “대표적 노인성 심질환 중 하나인 서맥성 부정맥에 대한 이해가 심각하게 낮아 어지럼증 등 서맥성 부정맥의 주요 증상을 나이가 많아지면 당연히 생기는 것으로 생각하기 쉬워 발견이 늦고, 기기 이식에 대한 거부감으로 진단 후에도 시술을 꺼려하는 경우가 많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연구결과는 오는 11월 대한심장학회 추계학술대회 때 발표된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서맥성부정맥을 아시나요? 뭐가뭔지 몰라 심장병 키우는 노인들 많다
입력 2014-09-30 1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