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세월호 구조 현장에 투입되지 못해 논란이 된 함정 탐색·인양 전문함인 통영함 납품비리 수사에 본격 나섰다.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부장검사 문홍성)는 29일 통영함에 음파탐지기를 납품한 H사 사무실과 관련자 자택을 압수수색했다.
감사원은 통영함 음파탐지기 선정 과정에 대해 지난 5월부터 특수감사를 마친 뒤 최근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통영함은 국내 기술로 제작된 최첨단 수상 구조함을 표방하며 지난 2012년 진수됐다. 좌초된 함정을 구조하거나 침몰 함정을 탐색·인양하는 것이 주요 임무다.
하지만 해군은 통영함의 핵심 장비인 수중 무인탐사기(ROV)와 사이드 스캔 소나(음파탐지기)가 성능 기준에 턱없이 못 미친다는 이유로 인도를 거부했고 지난 4월 세월호 참사 때도 투입되지 못했다.
감사 결과 핵심 장비인 음파탐지기의 성능이 1970년대 기술 수준인데다 원가도 방사청이 지급한 41억원에 훨씬 못 미치는 2억원대인 것으로 드러났다.
서정학 기자 mideum@kmib.co.kr
검찰 ‘통영함 납품비리’ 본격 수사…2억원짜리 구형 음파탐지기 41억원에 사들여
입력 2014-09-29 1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