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2일 오후 8시35분쯤 광주 매곡동의 한 아파트 지하 1층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주민 A모(48·여)씨가 숨져 있는 것을 엘리베이터 수리업체 안전기사 B씨(35)가 발견해 경찰에 신고했다.
문제의 엘리베이터는 지난 3월 1년에 한 차례씩 실시되는 한국승강기안전기술원의 정기 안전점검 이후 매월 한 차례의 자체점검에 따라 일부 부품을 교체한 당일 밤 오작동으로 사고를 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장에 출동한 경찰이 아파트 복도와 엘리베이터의 CCTV를 확인한 결과 A씨는 사고 당일 오후 8시10분쯤 1층에서 엘리베이터를 타고 12층에서 문이 열리자 내리려했다. 하지만 A씨가 내리기 직전 엘리베이터는 문이 열린 채 갑자기 15층까지 올라갔다가 통로 맨 아래층인 지하1층으로 추락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23일 국립과학수사원과 함께 현장 감식을 실시하는 등 정확한 사고원인 조사에 나섰다.
경찰은 이번 사고 이전에도 해당 아파트에서 이물질 끼임, 버튼 고장 등 엘리베이터 고장 신고가 몇 차례 접수됐던 점으로 미뤄 안전점검이 부실하게 이뤄졌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현행 승강기시설안전관리법에 따르면 엘리베이터는 1년에 한 번 정기점검을 하고 한 달에 한 번 자체점검을 해야 한다. 이 아파트는 지난 3월 한국승강기안전기술원의 정기점검에서 합격 판정을 받은 이후 그동안 엘리베이터 공급 업체인 S사에서 자체점검을 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사고가 난 엘리베이터가 지난 21일에도 꼭대기층인 22층 작동 버튼이 고장 난 적이 있다고 밝혔다. 또 엘리베이터 문이 열리고 닫히도록 하는 롤러에 이상이 발생해 21일과 사고 당일인 22일 오전 수리업체에서 부품을 교체하는 등 수리작업을 벌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다가 이날 밤 또다시 엘리베이터 고장 신고가 접수됐다가 이 같은 추락사고가 발생했다.
아파트 주민 C씨(50)는 “1층에서 엘리베이터가 내려오길 기다리는데 15층에 멈췄다는 표시가 돼 있는 상황에서 ‘통통통’ 하는 소리에 이어 갑자기 ‘쿵’하는 충격음이 들렸다”고 관리사무소에 신고했다. 수리업체 안전기사 B씨는 이 같은 신고에 따라 엘리베이터 통로를 확인, A씨가 지하 1층에서 숨져 있는 것을 발견했다.
승강기안전관리원은 지난해 전국 각지에서 2552건의 엘리베이터 안전사고가 발생해 130명이 다치거나 숨진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5년 전에 비해 1000여 건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경찰은 아파트 관리사무소와 엘리베이터 유지보수업체 관계자 등을 불러 정확한 사고원인과 관련법 준수여부를 조사 중이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광주 매곡동 아파트 엘리베이터에서 추락사고 발생… 40대 여성 숨져
입력 2014-09-23 1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