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부산·경남본부와 대구·경북지역 직원 및 가족 2000여명은 15일 오후 7시30분 부산역 광장에서 철도노조 집행부에 대해 공공기관 경영정상화의 조속한 노사합의를 촉구하는 결의대회(사진)를 가졌다고 16일 밝혔다.
결의대회에 참석한 코레일 직원과 철도노조 조합원들은 “현재 공사는 절체절명의 위기상황에 직면해 있다”며 국민의 사랑과 신뢰를 되찾기 위해서는 철도노조 집행부가 ‘퇴직금 산정방식 개선’ 등 방만경영 해소에 적극 동참할 것을 촉구했다.
현재 부채감축 중점관리대상기관으로 지정된 18개 공공기관 중 코레일을 제외한 모든 기관이 노사합의를 통해 제도개선을 마쳤으며, 기한 내에 정상화 대책 미 이행기관이 되면 국민의 신뢰를 잃고 정부지침에 따라 코레일 임직원들은 직·간접적인 불이익을 받게 되는 상황이다.
코레일은 총 39회에 걸친 교섭 및 노사간담회를 통해 지난 8월 18일 경영정상화대책과 관련 ‘퇴직금 산정방식’ 1개 과제를 제외한 총 15개 과제 25개 항목에 대해 전격 노사합의 했다.
노사합의 이후 코레일은 마지막 남은 퇴직금 산정방식 개선을 위해 성실히 교섭에 나섰으나 최근 철도노조 집행부에 대한 신임여부를 묻는 조합원 총투표에서 주요 노동조합 집행부가 불신임되어 현재는 직무대리 체제인 상황이다.
철도노조 직무대리 체제는 공공기관 정상화대책 관련 조속한 노사합의를 바라는 조합원들의 염원과 달리 ‘차기 집행부에서 논의해야 한다’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어 협상이 중단된 상태이다.
최근 시행한 ‘퇴직금 산정방식 개선’에 대한 직원 의견을 묻는 설문조사에 전체 직원의 45%에 해당하는 1만20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91%(1만1141명)가 ‘합의해야 한다’며 압도적으로 지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14일 오후 2시 기준 노사합의를 촉구하는 성명서에 총 292개 소속 중 200여개 소속 직원 및 조합원 1만5000여명이 서명과 함께 소규모 결의대회를 시행하는 등 입장발표가 있었다.
이와 관련, 철도노조 조합원 김모(45)씨는 “현재 공사가 존립 자체가 위협받을 수 있는 위기에 처해있음에도 조합원의 민의를 무시한 채 무책임한 태도만을 일관하는 집행부의 태도에 답답함을 느낀다”며 “철도노조 집행부는 하루빨리 협상테이블에 나서 금번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해 줄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날 부산역 외에도 전국 4개 지역(서울역, 대전역, 영주역, 순천역 등)에서 철도노조 집행부에 대해 공공기관 경영정상화 대책의 조속한 노사합의를 촉구하는 결의대회가 열렸다.
최덕률 코레일 부산경남본부장은 “비록 노사관계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지만 조속한 시일 내에 노사합의를 체결하여 국민에게 행복을 드리는 국민행복 코레일로 거듭 나겠다”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코레일 부산경남본부, 노사합의 촉구 결의대회
입력 2014-09-16 13:44 수정 2014-09-16 1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