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일자리 영향평가제’ 도입… “청년이 돌아오는 전남 만든다”

입력 2014-09-15 17:27
전남도는 ‘청년이 돌아오는 전남’을 만들기 위해 일자리 영향평가제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15일 밝혔다.

도가 추진하는 일자리 영향평가제는 도정 주요사업에 대해 일자리 창출효과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 재정계획에 반영하며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도는 그동안 일자리 대책 추진에 있어 단순한 일자리 달성 목표와 실적만을 관리해오면서 도정 성과가 일자리로 연계되는지에 대한 평가 부재로 정책 환류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

도는 이에 따라 민선 6기에 접어들면서 일자리 종합관리 시스템인 일자리 영향평가를 도입하게 됐다. 일자리 창출을 위한 행정력 집중이 다소 미흡했다는 지적에 대한 보완대책을 마련한 것이다.

도는 이번 평가제를 도입해 도 전 부서의 5억원 이상 예산사업과 직접 일자리창출사업을 대상으로 일자리창출 목표와 추진전략을 수립하고 그 결과를 평가 분석하게 된다.

이를 위해 일자리정책심의위원회를 설치해 각 부서의 사업을 년 2회 심의할 예정이다.

상반기에는 결산과 연계해 실시하고 하반기에는 예산편성과 연계해 평가하게 된다.

특히 예산편성 단계에서는 일자리창출에 실제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사업계획이 설계되어 있는지 여부 등을 중점 심의해 사업계획을 수정, 보완토록 할 방침이다.

평가결과에 따라 우수부서와 직원들에 대한 포상과 시·군에 대한 인센티브 등을 부여 할 계획이다.

도는 이번 평가제 시행을 위해 올해 말까지 일자리 영향평가 근거 조례를 마련할 예정이다. 이어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일자리정책심의위원회를 구성해 세부평가 지표를 확정한 후 내년부터 도와 22개 시·군을 대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윤진호 도 일자리정책지원관은 “앞으로 도에서 추진하는 모든 사업을 일자리 중심으로 평가해 좋은 일자리 창출에 행정력을 집중할 수 있는 분위기를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무안=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