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신규 아파트에 기생하는 동네조폭 검거… “3년간 120억원 챙겨”

입력 2014-09-15 14:09

수도권 신규 아파트에 기생해 합법을 가장해 아파트 입찰 비리 등에 관여한 동네 조직폭력배와 아파트 입주자 대표 등 125명이 경찰에 적발됐다. 일부 입주자 대표들은 이 같은 범죄행위를 위해 미리 신규 아파트에 입주해 고의적으로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경찰청 광역수사대는 올해 1월부터 최근까지 인천·서울·경기 등 수도권 일대 아파트 단지 수십 곳의 관리 비리를 수사해 9명을 구속하고 116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들은 서울지역 모 폭력조직 두목 A씨(42·구속) 등 수도권 동네 폭력조직원 19명, 아파트 입주자 대표 33명, 브로커 28명, 건설사 현장소장 31명, 어린이집 원장 14명이다.

경찰에 따르면 A씨 등 폭력조직원들은 2012년 2월부터 최근까지 폭력을 쓰거나 금품 로비를 벌여 29개 아파트 단지 위탁 관리 계약을 맺게 해주고 위탁관리 업체로부터 경비·청소 이권을 일부 건네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폭력조직원들은 이권을 건네받은 뒤 하도급을 주는 방법 등으로 위탁관리 업체와 함께 3년간 120억원 상당의 부당이익을 챙겼다.

또 아파트 단지 내 시설 운영 낙찰권에 개입, 입찰 채점표를 조작하도록 심사위원에게 청탁하고 낙찰받은 휘트니스센터·어린이집 19곳의 운영자 등으로부터 약 5억원을 챙긴 혐의도 있다.

심사위원은 시공사 현장소장, 아파트 관리소장, 입주자 대표, 재건축 조합장 등으로 구성됐다.

폭력조직원들은 패거리로 몰려다니며 우유·신문배달 업자 등에게 자릿세 명목으로 금품을 뜯기도 했다.

이들 조직원은 범행 발각에 대비, 합법을 가장하기 위해 아파트 경비·청소용역 법인 2곳을 설립한 것으로 조사됐다.

폭력조직에 경비·청소 이권을 넘겨준 위탁관리 업체는 국내 도급순위 2위로 500개 이상 아파트 단지를 관리하고 있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이 업체는 폭력조직원과 브로커 등을 이용해 금품 로비를 벌여 아파트 관리업체로 선정된 뒤 용역인원·급여 부풀리기 등으로 부당 이익을 챙겼다.

특히 국고보조금으로 운영비의 95% 이상을 받는 어린이집의 원장들이 고액의 권리금이 붙은 어린이집 운영권 낙찰을 위한 로비 자금으로 예산을 지출하면서 원아 급식이 부실해지는 등 입주민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아파트 위탁관리업체의 부당이익금 85억원에 대해 국세청에 통보했으며, 동네조폭이 설립한 회사 2곳의 부당이익금 35억원에 대해서도 국제청에 통보했다.

이와 함께 경찰은 금품을 주고 어린이집을 낙찰 받아 국고보조금 20억3000만원을 챙긴 어린이집에 대해서는 국가보조금 회수조치 및 운영허가 취소를 요청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