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특별법이 표류하면서 새정치민주연합에서 당의 진로를 두고 다시 한번 당내 논란이 불거질 조짐이다. 대여 강경투쟁론이 재점화되는 가운데 4일로 취임 한 달이 되는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의 거취 문제도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를 전망이다.
3일 실시된 의원총회에서 새정치연합은 추석 전 세월호 특별법 타결을 위해 강력한 의사표명을 하기로 결의했다. 그러나 투쟁 방식에 대해서는 의견이 좁혀지지 않았다. 박범계 원내대변인은 의총 후 기자회견에서 “입법활동과 관련한 원내 비상행동과 단식 및 도보행진 등 원외 비상행동에 대한 두가지 흐름이 있었다”라며 “지도부로선 어느 쪽 흐름도 경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의총에서는 일부 의원들이 박 위원장 거취문제에 대한 의견을 개진하기도 했다.
추석 이후 강경투쟁론이 불붙으면 원내외 병행 투쟁을 강조해온 박 위원장의 입지는 더 위축될 가능성이 크다. 두 번이나 협상에 실패한 책임이 있는 박 위원장이 더 이상 당을 이끌 동력이 없다는 논리다. 세월호법에 대한 여야 원내대표 합의가 의원총회에서 두 차례 거부되면서 이미 당내에서는 박 위원장 퇴진론이 나온 바 있다.
당내 중진 의원들은 지난달 말 박 위원장에게 직접 위원장 사퇴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원혜영 의원은 MBC라디오 인터뷰에서 “많은 의원들 사이에 비대위원장·원내대표 분리체제에 대한 공감대가 조성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더 강력하고 적극적인 대응을 위해 투 톱 체제가 바람직하다”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박 위원장 측은 현재로선 사퇴 의사가 없다. 박 위원장 측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당헌·당규상 비대위 구성 권한은 박 위원장에게 있다”며 “박 위원장이 물러나면 비대위 구성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박 위원장이 비대위원을 조만간 발표하면서 퇴진론을 정면 돌파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박 위원장의 비대위원 인선 권한 여부와 후임 비대위원장직을 둘러싸고 계파 간 힘겨루기가 계속될 경우 당의 혼란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새정치연합 집안싸움 다시 시작?
입력 2014-09-03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