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도시계획위원회가 송도 LNG(액화천연가스) 생산기지 증설안을 조건부 가결한 것과 관련, 당사자격인 송도국제도시 주민들이 유정복 인천시장을 뽑아준 송도주민들의 뜻을 저버리고 ‘송도LNG 기지 저장탱크 증설’이라는 폭탄선물을 안겼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1일 인천시에 따르면 송도 LNG 생산기지 증설안은 지난달 27일 시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조건부로 가결됐다.
위원회는 기존 안전성 평가용역 결과보다 강화된 안전기준 적용, 도시가스사업법에 따라 LNG기지 주변 지역에 대한 충분한 보상 지원, 지역 주민 의견 적극 수렴 등을 전제 조건으로 제시했다.
송도 LNG기지 증설은 한국가스공사가 5600억원을 들여 2018년까지 연수구 송도동 25만5353㎡ 에 20만㎘ 규모의 LNG 저장탱크 3기, 기화송출설비, 변전소 등을 건설하는 사업이다.
사업이 마무리되면 LNG 저장탱크는 현재 20기에서 23기로 늘어난다. 전체 저장용량은 현재보다 21% 늘어나 약 348만㎘에 이를 전망이다.
가스공사는 인천 산업설비와 인구의 지속적 증가로 천연가스 수요가 증가했다며 안정적인 설비 확충을 위해 기지 증설을 추진해 왔다.
공사는 기지가 증설되지 않으면 2015년부터는 천연가스의 공급 제한 사태가 빚어질 수도 있다며 기지증설이 시급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송도 주민, 시민단체, 지역 정치권은 물론 기지를 관내에 둔 연수구마저 LNG 기지 증설안에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송도국제도시총연합회(회장 조형규)는 이날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유정복 시장이 시장 후보 시절 총연합회와 면담 땐 충분한 안전대책이 마련되기 전까진 절대 LNG기지 증설을 강행하지 않겠다고 했다”며 “송도 주민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고 당선되고는 공약을 파기한 셈”이라고 주장했다.
연수구 역시 보도자료에서 “2005년 송도 LNG기지에서 가스누출 사고가 발생, 감사원이 주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사건으로 지적한 사례를 고려하면 기지 증설에 앞서 주민 안전이 우선 확보돼야 한다”며 주민 의견이 반영되지 않은 증설안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인천시는 LNG 기지 증설안에 대한 최종 승인까지는 충분한 시간이 있기 때문에 안전성 보완 대책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며 주민 의견을 적극 수렴하겠다는 방침이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
인천송도국제도시 주민들 화났다… “제2세월호, 송도LNG인수기지 저장탱크 증설 백지화하라”
입력 2014-09-01 1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