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값비싼 백금 사용량을 절반 이상 줄이고 효율은 최대 5배까지 높인 연료전지 촉매를 개발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유성종 박사(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료전지연구센터)·성영은 교수(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팀이 니켈, 코발트, 철과 같은 전이금속과 백금을 섞어 백금 사용량을 50% 이상 줄이고도 성능은 2~5배 향상시킨 연료전지 촉매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장치다. 배터리와 달리 충전이 필요 없고 오염물질이 나오지 않아 차세대 친환경 동력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연료전지 전극에 값비싼 백금이 대량 사용돼 경제적으로 효용성이 낮았다.
현재 양산되는 연료전지는 ㎾당 47달러이고 이 가운데 백금이 들어간 촉매 가격이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연료전지 값이 비싸다보니 아직까지 상용화는 안 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용화가 되려면 연료전지 가격이 ㎾당 30달러 이하여야 한다.
연구진은 “이 기술은 연료전지뿐 아니라 물 분해, 수소 개질, 자동차용 배출가스 정화장치 등 넓은 분야에 걸쳐 활용될 가능성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 과학 저널 ‘나노 투데이’(Nano Today) 7월 25일자에 실렸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
국내 연구진, 백금 사용량 줄이고도 효과 높인 고효율 연료전지 촉매 개발
입력 2014-08-13 17:08